Page 37 - 전시가이드 2025년 01월 이북용
P. 37
(좌상) 경복궁 경회루 궁창 (우상) 의정부 사패산 석굴암 극락전 궁창 (좌하) 양산 영축산 통도사 관음전 궁창 (우하) 부산 금정산 범어사 관음전 궁창
궁창초의 귀면은 사악한 무리가 법당에 들어오지 못하도록 하기 위하여 그 크게 미치지 못하지만 궁창초 만큼은 매우 독창적이다. 이곳 정면에 달린 분
려 넣었다. 이처럼 궁창에서 많이 볼 수 있는 귀면(鬼面)은 키르티무카(kirt- 합문은 궁창이 2단으로 되어 있는데 가운데 어칸의 분합문 궁창의 상단에는
timukha)와 비슷한 점이 많아 키르티무카에서 유래되었다고 추정하는데, 일 토끼 두 마리가 떡방아를 찢는 모습과 이를 옆에서 바라보는 거북이를 해학
부에서는 귀면이 아니고 용의 얼굴, 즉 용면(龍面)이라는 다른 주장도 있다. 적인 표현으로 그렸다. 하단에는 만개한 연꽃 세 송이와 풍성한 연잎, 두 개의
키르티무카는 인도의 고대 신화에 나오는 시바(Shiva) 신의 무서운 모습을 표 꽃봉오리를 그려 넣었다.
현한 형상이라고 하는데 키르티(kirtti)는 영광, 무카(mukha)는 얼굴을 뜻하 좌우측칸의 분합문 궁창의 상단에는 두 마리의 오리를, 하단에는 물고기와 연
는 범어의 합성어로 ‘영광의 얼굴’을 의미한다. 키르티무카가 불교에 수용되며 잎 두 장을 그려 넣었다. 일반 회화에서 보면 표현이 조금은 어설프게 보이기
사찰의 수호신으로서 항상 눈을 부릅뜨고 사악한 무리를 물리치게 되어 사찰 도 하겠지만 민화적 입장에서 보면 꼭 그렇지 않다는 생각이며, 순수하고 천
을 수호하는 벽사(辟邪)의 상징이 되었다고 한다. 진난만한 표현으로 더 친근감이 가게 한다.
하지만 우리 단청의 귀면은 괴기스럽다거나 무섭다기보다는 오히려 해학적 인간이 달에 착륙하기 전까지만 해도 보름달이 뜨는 날이면 달나라의 옥토
으로 표현하여 익살스럽고 친근감이 느껴진다. 그 모습을 보면 대체로 둥굴넓 끼가 계수나무 아래에서 떡방아를 찧고 있다고 상상하였다. 토끼 하면 또 별
적한 들창코를 하고서, 두터운 눈썹에, 눈은 부리부리하여 오히려 놀란 듯한 주부전(鼈主簿傳)이란 옛날이야기가 생각난다. 남해(南海)의 용왕(龍王)이 중
표정을 하고 있으며, 머리에 난 뭉뚝한 뿔은 산타의 썰매를 끄는 루돌프 사슴 병에 걸려 죽을 지경이 되자 영약(靈藥)인 토끼의 간(肝)을 구하기 위해 자라
의 뿔같이 귀여워 보이고, 입은 벌린 상태로 하얀 이빨에 잇몸까지 환하게 내 가 육지로 가서 토끼를 꾀어 등에 업고 용궁으로 돌아오던 중 이 내막을 알게
보이며 해맑은 표정을 짓고 있는가 하면 연꽃을 입에 물기도 하며, 혀를 빼물 된 토끼가 기지를 발휘하여 간을 볕에 말리려고 꺼내 놓고 왔노라는 말에 자
고 있기도 하여 그 익살스러움은 웃음까지 자아내게 한다. 라가 속아 토끼를 놓쳐 버리게 된다. 자신의 실수로 토끼를 놓치고 나서 자라
가 목숨을 끊으려고 할 때 도인(道人)의 도움으로 선약(仙藥)을 얻을 수 있게
이와 달리 독특한 궁창초를 찾아보자면 경기도 의정부시 사패산 중턱에 자리 되어 용왕의 병을 고치게 되었다는 줄거리이다. 토끼가 자라의 꾐에 빠져 용
잡은 석굴암(石窟庵) 극락전의 궁창에 토끼와 거북, 오리와 물고기, 연꽃을 그 궁으로 갔으나 토끼가 기지를 발휘하여 위기를 모면하는 이야기인데 불교와
려 넣은 궁창초가 이색적이다. 석굴암 하면 경주 석굴암이 가장 잘 알려져 있 는 무슨 관련이 있어서 궁창에 그렸을지 궁금하다. 토끼가 간 용궁을 극락으
다. 그에 비해 이곳의 석굴암은 규모에서나 문화재적 가치, 예술적 측면에서 로 생각해서일까?
35
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