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6 - 전시가이드 2025년 01월 이북용
P. 36
단청과 컨템포러리 아트
의정부 사패산 석굴암 극락전 전경
궁창 단청, 궁창초 양과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불교에서 대자대비(大慈大悲)를 상징하는 연꽃을 다양하게 조형화하였다. 여
러 가지 식물 중에서도 특히 불교를 대표하는 꽃으로 여겨서 붉은색 연꽃을
글 : 박일선 (단청산수화 작가, (사) 한국시각문화예술협회 부회장)
빠드마(Padma, 紅蓮華), 푸른색 연꽃을 웃뜨빨라(Utpala, 靑蓮華), 니로뜨빨
라(Nilotpala, 靑蓮), 노란색 연꽃을 꾸무다(Kumuda, 黃蓮華), 흰색 연꽃을 뿐
궁창은 창호 문짝의 아래쪽에 판자널을 댈 수 있도록 만든 부분을 말한다. 문 다리까(Pundarika, 白蓮華) 등의 5종류로 구분하였다. 이것을 불교 경전에는
에 궁창을 댄 이유는 문살만 대면 문이 휘고 약한데 휘는 것을 막고 튼튼하게 한자로 옮기면서 빠드마(Padma)를 발두마화(鉢頭摩華), 웃뜨빨라(Utpala)를
하기 위해서 청판이라고 하는 판자널을 끼우게 된 것이다. 궁창은 문 이외에 우발라화(優鉢羅華), 니로뜨빨라(Nilotpala)를 니로발라화(泥盧鉢羅華), 꾸무
도 난간이나 계단, 창 아래 설치된 높은 문지방인 머름에도 대는데, 궁창에 단 다(kumuda)를 구물두화(拘勿頭華), 분다리까(Pundarika)를 분다리가화(芬
청을 그려 넣은 것을 궁창초라고 한다. 대개 사찰 문짝의 아래쪽에 댄 청판에 茶利迦華)라 쓰고 있다.
주로 연꽃과 당초무늬, 귀면(鬼面), 태극(太極) 등이 그려진다. 연꽃의 경우 독
립되게 연꽃만을 그려 넣기도 하고, 풍혈(또는 안상) 안에 그려지기도 한다. 좀 또한 경전 이름에 연꽃이 들어간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은 경전이 가진 결
더 화려하게 단청을 할 때는 궁창 네 모서리에 연화나 주화의 1/4씩을 더 그려 백하고 미묘한 뜻을 연꽃에 비유한 것이다. 이 이름에 대해 '꽃과 동시에 곧 열
넣기도 한다. 하지만 궁궐에서는 유교적 영향인지 궁창에 이러한 문양을 배격 매가 맺고 더러운 곳에 있으면서도 언제나 깨끗하니 이것은 연꽃의 실상이요,
하고 뇌록만을 칠한 가칠단청으로 미니멀하게 마감하였다. 중생과 부처가 근본이 있어 윤회를 거듭해도 달라지지 아니하니 이것은 마음
의 실상이요, 그 모양은 허망하지만 그 정기는 지극히 진실하니 이것은 경계
궁창초에는 연꽃이나 귀신의 얼굴인 귀면을 그려 넣은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 의 실상이로다. 이른바 묘법은 추(醜)함을 버리고 묘(妙)함을 취한 것이 아니
다. 여기에 쓰이는 연꽃 문양은 대체로 꽃이 위로 피어오른 모양을 옆에서 본 고, 추함에서 곧 묘함을 나타내심이다. 추함에서 곧 묘함을 나타내는 것은 심
입면연화(立面蓮花)나 파련화(波蓮花)를 그린 경우가 제일 많은 것 같다. 파련 은 연꽃이 더러운 곳에서도 항상 깨끗한 것과 같다.'라고 한다.
화는 연꽃잎의 한쪽이 버선 모양으로 오그라져 말린 형태가 마치 파도치는 모
34
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