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7 - 전시가이드 2020년 06월
P. 37

(좌) 다정한 한때를 보내는 빌리 차일디쉬와 트레이시 에민 (우) 1982년 카세트 음악을 1988년에 재수록한 앨범 자켓






           업하는 음악들은 놀랍게도 이러한 그의 관심사를 놀랍도록 정직하게 표현하        가로서 잘못된 길로 가고 있다고 할 때 그는 주류에게는 반항적이었지만 성실
           며, 그의 그림 작업은 굉장히 신비스럽고 미묘하다. 그는 작품의 주제를 종종     하고 끊임없는 집착으로 그만의 독특한 화법을 계속해서 고수해 왔다. 두 살
           자신의 주변 환경에서 가져오거나 자작나무 숲, 영국의 목가적인 풍경 등과 한     때부터 그림을 그리고 17세 때 음악을 시작한 빌리 차일디쉬는 페인팅 작업은
           때 아내였던 트레이시 에민의 누운 누드화, 또는 같이 알고 지내거나 존경하는     물론 시집 40여 권과 소설 5권과 100여 장의 음반을 발표하여 세계적으로 문
           사람들의 고독한 자화상 등을 즐겨 그렸다. 1999년에는 동료 화가 찰스 톰슨    화적인 지위를 얻게 된 반면에, 난독증을 가진 그는 오랜 세월 무명으로 지냈
           과 함께 개념미술에 저항하는 <스터키즘>이라는 국제예술운동을 창안했다. ‘      다. 그러다가 2010년 ≪바젤 아트페어≫에 참여하면서 비로소 화가로서 전성
           스터키즘’은 항상 그림만 그리는 그에게 옛 애인이었던 트레이시 에민이 회화      기를 누리고 있다. 독일의 ≪노이게림 슈나이더≫, 뉴욕의 ≪리만 머핀≫ 등
           에만 집착(stuck)한다고 말한 데서 유래되었다. 차일디쉬와 톰슨은 많은 포고   유명 갤러리에서의 대규모 개인전을 갖기도 했다.
           를 발표했는데 그 중에 주목할 포고인 <리모더니즘>은 포스트모더니즘을 비
           판하는 것이었다. ‘리모더니즘’의 목표는 양식, 주제, 매체에 상관없이 정신적    화가, 포토그래퍼, 시인, 소설가, 영화제작자, 배우, 가수 및 기타리스트 등의
           인 가치가 함유된 예술을 만드는 모더니즘의 진정한 의미를 되찾고자 하는 것      다양한 아티스트 활동을 하고있는 영국의 펑크 문화와 컬트 문화의 아이콘,
           이었다. 트레이시 에민과 헤어진 이후, 빌리 차일디쉬는 2000년부터 광대 복    아티스트 빌리 차일디쉬의 국내 첫 개인전『늑대, 일몰, 그리고 자신』전시회가
           장을 하는 등【터너 상】에 반대하여 ≪테이트 브리튼 갤러리≫에서 시위를 하      안국동 ≪리만 머핀 갤러리 서울 점≫에서 진행 중이다. 스위스 갤러리스트
           고 있다. 그들은 찰스 사치가 후원하는 <yBa> 작가들을 줄곧 비난해왔다. 한   라쉘 리만과 뉴욕 ≪메트로픽처스 갤러리≫ 디렉터 데이빗 머핀이 세계적 유
           편으로는 트레이시 에민이 결정적으로 빌리 차일디시와 갈라선 이유는, 바로       명 갤러리 ≪리만 머핀≫이라는 갤러리 브랜드를 뉴욕, 홍콩에 이어 서울에서
           태생적으로 반골 기질로 다져진 그의 성향 때문이 아닌가 싶다. 어쩌면 애증으     론칭하면서 대표 작가로 영입한 빌리 차일디쉬의 국내 첫 공식 개인전인 셈이
           로 얼룩진 두 사람의 인생역정이 서로 간의 예술 세계에 깊은 상호 작용을 일     다. 6회 개인전이었던 2011년 뉴욕 전시『On Shuffle(교대로)』에 이어 열린 일
           으키는 것일 수도 있다. 왜냐하면, 빌리 차일디시에 관한 기사를 보면 트레이     곱 번째 개인전이다. ‘코로나 팬더믹’이 전 세계 미술생태계에 기승을 부리면
           시 에민의 미술은 분명히 그에게서 영향을 받은 것이다. 그의 미술이 워낙 표     서 좀처럼 잦아들지 않는 와중에 개최된 전시회니만큼, 초대된 작가의 글로벌
           현주의적이고 자전적이기 때문이다. 빌리 차일디시 역시 훨씬 세월이 흐른 후      경쟁력과 인지도를 반증해준다. 코로나-19로 인해 전 세계 산업, 경제, 사회가
           에 트레이시 에민과의 관계를 이용했다. 구체적으로, 2000년 11월 런던 ≪퓨   마비되고 있다고 한다. 우리 미술생태계 역시 다른 분야와 마찬가지로, 한치
           어 갤러리≫에서 개최되었던『빌리 차일디시와 트레이시 에민: 채텀에서 살고       앞도 보이지 않는 불확실한 상황에 놓여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로 인해
           잘 지내고 죽어가는』이라는 별스런 제목의 전시회에서, 빌리 차일디시의 작품      지구 환경은 크게 개선되고 있으며 야생동물들 역시 보금자리로 돌아오고 있
           과 나란히 트레이시 에민은 자신의 나체 혹은 반라의 모습을 1980년대 초에     다고 한다. 그야말로 '코로나의 역설'이 아닐 수 없다. 여기서 빌리 차일디쉬의
           찍은 유진 도이언의 사진들과 함께 전시한 바 있다. 자아 성찰적이며, 자서전     작품 세계를 마주하다 보면, 적막한 풍경에서 소리 없이 꿈틀대는 에너지가 느
           적 성격의 감성적인 페인팅과 글, 음악으로 잘 알려져 있는 빌리 빌리 차일디     껴지고, 자작나무숲 속 늑대는 털과 근육이 만져질 것처럼 생생하다. 마치, 자
           쉬는 표현적인 측면에서 뭉크, 고흐 그리고 독일 작가 슈비터스 등의 영향을      연의 재해로 인한 상처를 자연을 통해 치유 받는 느낌이다. 아무쪼록 우리 미
           받았다. 그 이유는 이 작가들의 창의력뿐만이 아니라 그들이 동시대 미술사조      술인들의 자유로운 영혼이 역경 속에서도 ‘새로운 정신’으로 거듭나 암담한 현
           에서 벗어나 작업했던 것을 본인과 동일시 하며, 사회의 틀에서 벗어나 있는      실의 무게를 스스로 견디고 헤쳐나가기를 간절히 기원해 본다.
           그들의 역할에 흥미를 가졌기 때문이다. 대다수 사람들이 빌리 차일디쉬가 화


                                                                                                     35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