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7 - 2019년02월전시가이드
P. 37
강주희 칼럼
<표 1> 학교예술교육의 관련용어 구분(곽덕주 외, 2018, p. 135)
[그림 1] 학교예술교육의 목표 체계(곽덕주 외, 2018, p. 140)
학교예술교육의 변화
[그림 2] 학교예술교육 활성화 비전 및 추진 전략(교육부, 2018, p. 9)
살펴보기 1)
글 : 강주희(목원대학교 교수)
동적이고 주체적인 참여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학교 공동체의 민주적 문화
의 형성을 추구한다(곽덕주 외, 2018). 이와 같은 학교예술교육의 목표 체계
학교예술교육은 학교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예술교육을 총칭하는 용어로 는 다음 [그림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서, 2016년 2월 교육부에서 발표한 ‘2016년 학교예술교육 활성화 추진계획’
을 통해서 정책적인 용어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2011년부터 교육부는 학교폭 학교예술교육은 학생 개인의 고유성을 이해하고 예술에 대한 감각적 판단력
력근절과 인성 함양을 위한 예술교육 지원 사업을 시행한 끝에 보다 안정적이 과 표현력을 기름과 동시에 공감, 소통, 다양성, 참여 등과 같은 공동체적 가치
고 지속적으로 학교예술교육활성화 정책을 추진하기 위해 전담기구인 한국 를 함양함으로써 민주시민으로 성장하도록 한다. 이에 교육부는 학교예술교
교육과정평가원 학교예술교육중앙지원단을 조직하고 학교예술교육활성화 육 중장기 계획 (2018년 11월 9일 발표)에서 학교예술교육의 비전 및 추진 전
정책을 실행해 오고 있다. 2018년 발표한 「학교예술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에 략을 다음 [그림 2]와 같이 제시하였다.
서 곽덕주 외(2018)는 학교예술교육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학교예술교육 활성화 정책은 학교-지역 협력을 통해서 학생들의 예술체험을
교육과정 내 교과 예술교육과 비교과 예술교육을 포함하여 학교 및 학교 생활화하고 보편교육으로서 학교예술을 강화함으로써 예술 감수성으로 공감
를 둘러싼 제반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예술교육을 총칭하는 것으로서, 예 하고 소통하는 행복한 시민 양성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른 추진 전략으로
술을 소재로 하는 교육적 활동이나 예술적 경험을 교육적으로 기획하는 는 1) 학교 교육과정에서 교원과 학교의 예술교육 역량 강화, 2) 학생의 예술
활동을 두루 포함한다(곽덕주 외, 2018, p. 134). 교육 기회 확대, 3) 예술활동을 위한 지역협력 네트워크 조성, 4) 지속가능한
학교예술교육 지원체계 구축이 제시되었다.
기존의 학교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예술교과 이외의 다양한 예술적 경험을 학
교교육 환경에 능동적으로 통합하고 확장시켜 나가기 위한 교육 활동인 셈이 이와 같이 학교예술교육은 단순히 예술에 대한 지식이나 기술을 습득하는 전
다. 학교예술교육의 범주는 실행 형식에 따라 크게 교육과정 내에서 이루어지 통적인 교과 중심의 접근에서 벗어나 학습자가 평생 동안 삶 속에서 예술을
는 교과 예술교육과 비교과 예술교육, 교육과정 편제 시수 외에 정부부처, 시 향유해 나갈 수 있는 역량을 키워나가는 방향으로 그 영역이 확장·변모해 나
도교육청, 지역사회 및 전문예술교육기관들과의 연계를 통해 이루어지는 교 가고 있다.
육과정 외 예술교육으로 구분할 수 있다(<표 1>참조).
1) 「학교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학교-교육청-지자체의 협력 체제 구축 방안 (이은적, 강
이와 같은 학교예술교육에 대한 관심은 기존의 교과 중심으로 이루어지던 예 주희, 최나영, 2019)」 중 일부 내용을 발췌함.
술교과교육의 한계에 대한 자각과 성찰을 바탕으로 하며, 그 변화와 확장의 가
능성을 전제로 하고 있다. 기존의 예술교육이 기능/기술 중심의 활동으로 이
<참고문헌>
루어져 예술의 본질적 가치를 체험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삶의 맥락에서 예술 곽덕주, 정진원, 김선아, 남인우(2018). 학교예술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
을 향유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학교예술교육은 기초소양으로서 예술 평가원.
을 깊이 체험하고 내면화할 뿐 아니라, 예술을 통해 문화적 의미 구성에의 능 교육부(2018b). 학교예술교육 중장기 계획.
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