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1 - 전시가이드 2025년 08월 이북
P. 51

접수마감-매월15일  E-mail : crart1004@hanmail.net  문의 010-6313-2747 (이문자 편집장)
                                                           접수마감-매월15일   E -mail : cr ar t1004@hanmail.ne t  문의 0 10-6313- 2 7 4 7 (이문자 편집장)






































                         Freedom 025021, 116.8x91.0cm, Acrylic on canvas, 2025  Freedom 025022, 116.8x91.0cm, Acrylic on canvas, 2025







            자연의 목소리와 색채의 향연                                 호흡의 여유로움이 진행중이다. 그녀는 자연의 복잡한 에너지를 예술적 언어
            작가는 자연의 생명력과 그 속에서 느껴지는 감각들을 섬세하게 포착하며, 자       로 재해석하여 관람자에게 감각적 경험을 제공하며, 자연의 생명력과 내면을
            연 속 풀과 같은 일상적인 소재들을 다루면서도, 단순한 재현이 아닌 감각적       추상적 형태로 연결시키는 예술적 담론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그의 작업
            인 추상 회화를 통해 자연과의 교감을 시각적으로 단순화 시킨다. 녹색은 고       은 추상 회화의 전통과 함께 새로운 시각으로 풀어낸 자연에 접근하는 현대
            요함과 안정감을 주며, 마치 자연 속에서 흩어져 있는 듯한 풀잎들이 바람에       적인 해석을 시도하였다.
            흔들리듯이 느껴진다. 이러한 색채와 붓질은 자연과 인간이 함께 호흡하는 순
            간을 포착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귀화 작품에 주요 특징을 심도 있게 분석      본능과 감정
            해보면, 자연의 생명력과 움직임이 빠른 붓질과 색채의 자유로움을 통해 표        이귀화는 자연의 생동감과 그 리듬을 담아내기 위해 추상적인 붓질과 색채를
            현하고자 하는 주제에 대한 명확함이 핵심이다. 자연의 역동적 에너지를 추        사용하며, 감정적이고 직접적인 방식으로 혼돈과 감정을 표현하였다. 회화라
            상적 형태로 구현하며, 우주적 원리의 연결성을 시각화하면서 드러나지 않은        는 매체를 통해 자신만의 조형 언어를 구축하며, 그 속에서 생명력과 에너지
            신앙적 메세지가 복선으로 깔려 있다. 그녀의 회화는 단순히 자연을 모방하        를 표현하는 데 주저하지 않았다. 그녀는 자신의 작업에서 계획이나 형식적
            거나 묘사하는 것이 아니라, 자연의 본질적 에너지를 작품 속에 내포하여 감       인 규칙에 얽매이지 않고, 붓을 통해 내면의 감정을 직접적으로 표출하는 방
            각적으로 전달하고자 한다. 작품에서 보이는 붓의 강약은 자연의 리듬과 순        식은 자연의 율동성과 생동감을 직관적으로 포착하며, 계획된 구도보다는 자
            환을 상징하며, 자연의 색은 생명력을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동시에, 보는 이       연의 에너지를 담아내는 추상적 형식을 강조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즉흥성과
            로 하여금 자연 속에서 느껴지는 내면의 감정을 환기시킨다. 이를 통해 작품       직관적 접근은 작가가 추구하는 “풀과 자연스러운 감정 표현”과 연결되며, 작
            은 자연과 인간의 교감을 은유적으로 표현하며, 관람자에게 자연의 본질적 흐       업에 강렬한 시각적 에너지를 부여한다. 결국 이귀화는 현대와 과거의 많은
            름을 감각적으로 전달한다.                                  작가들이 사용하는 표현주의 방식과 기법에 유사성에 머물지 않고 현대의 조
                                                            형적 언어로 시대와 문화적 배경을 기초로 두었다. 추상 표현주의라는 공통
            이귀화 작품은 색채와 형태가 상징하는 자연의 흐름을 감각적으로 드러내며,        의 미학적 기초 위에서 파문이 일지 않은 평정심의 생명력을 시각적으로 풀
            생명력 넘치는 자연의 현상을 추상적으로 체험하게 만든다. 그녀의 작품에         어내고 있다는 점에서 기대가 된다.
            서 볼 수 있는 공간감과 리듬은 자연 그 자체의 변화를 상징적으로 담아내며,
            이를 통해 그녀는 생명력의 본질에 대한 철학적 사유의 공간을 건설하고 있        이귀화 작가의 다양한 미학적 실험과 추구는 경이로운 자연앞에 겸허하다. 신
            다. 결국 이귀화의 작업은 현대 추상미술의 중요한 흐름인 자연과 인간의 상       앙고백 같은 구조와 자연에서 체취한 에너지 그리고 폭발하는 공간에 대한 배
            호작용을 색채와 붓질을 통해 시각적으로 풀어내면서 한국의 전통의 풍류적         려는 캔버스 안에 조화롭게 축적되어 생명의 숲이 되고 있다.


                                                                                                       49
                                                                                                       49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