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2 - 2019년12월전시가이드이북보기
P. 92

다시보는 전시








































         phenomenological happiness 130x200cm oil on canvas 2019








                    2019. 11. 18 – 11. 25 삼육대학교 박물관 기획전시실 (T.02-3399-3065, 노원구 화랑로)






         현상학적 행복                                        일이 아닐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문제는 우리로 하여금, 오랜 시간 꽃을 대상
                                                        으로 해온 작가들의 작품은 표현의 완결성과 같은 외형적 성과만을 보여주는
        심미경 초대전                                         데 그치지 않고, 오랜 시간 회화가 고민해온 미술 내적인 문제들이 암시되거
                                                        나 드러나고 있을 것이라는 것에 생각이 미치도록 해준다.
        글 : 박정구(부산현대미술관 학예실장)                           심미경 또한 오랜 시간 꽃을 소재로 작업해온 작가의 한 사람이다. 그러한 그
                                                        의 그림을 특징짓는 것은 클로즈업한 꽃송이들로 구성된 유백색, 혹은 상아
                                                        색이 주조를 이루는 단색조의 화면이다. 꽃이라는 것이 대개 그러하듯 붉거나
        동양의 화조화나 서양의 정물화에서 보는 바와 같이, 꽃은 전통적으로 가장        노랗거나 희거나 한 단색을 가지기 마련이다. 그는 그러한 꽃들을 자신의 감
        친근한 자연미의 상징인 동시에 미적 표현의 대표적인 주제가 되어 왔다. 지       성을 통해 백색조의 유려하고 세련된 화면으로 재구성해내는 것이다. 그렇다
        금도 수많은 작가들이 꽃을 소재로 삼고 있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여전히 화      면 그가 세련된 색감과 화려하지 않지만 장식성이 두드러진 자신 특유의 꽃
        가가 자신의 조형적·미적 관점을 잘 드러내 보일 수 있는 매우 직접적이고 효      그림을 지속적으로 그리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을 찾는 단서의 하나를 변
        과적인 수단이 되어주고 있다. 하지만 꽃이라는 소재의 특성과 그것의 사실적       함없이 그림의 제목이 되고 있는 ‘현상학적 행복’이라는 문구에서 찾을 수 있
        재현이라는 방식은 경우에 따라서는 화사하기만 하여 가볍고 안일해 보이기         지 않을까 생각한다. 그는 자신의 작업을 보는 이에게 설명하고 이해시켜줄
        까지 할 위험성도 있다. 그러한 점에서 굳이 꽃이라는 소재를 택해 ‘재현’하는     가장 큰 열쇠의 하나인 작품 명제를 ‘현상학적 행복’으로 삼고 변함없이 사용
        것에 관해 작가의 조형적 신념이 없다면 지속적으로 작업한 다는 것은 쉬운        하고 있기 때문이다.


        90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