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3 - 교화연구 2021년 가을호
P. 73

‘훼방이와합毁方而瓦合’은  ‘헐어서                   子는 기와 굽는 기와 틀과 같이 쫙~하
                 방정함을 삼고, 합하여 둥글게 한다’                    고 쪼개지면 방정方正[毁方]하고 뜻

                 고 하는데 이를 정확하고 자세하게 해                    을 모을 때는 화합和合[瓦合]하여야
                 석해놓은 곳은 인터넷 어디에서도 찾                     한다는 뜻입니다.

                 아볼 수 없습니다.                                참고로  기와  만드는  과정을  담은
                   독자께서도 검색해보시기 바랍니다.                    영상을 유튜브에서 찾아보시기 권합

                   이와 같은 이유는 기와를 굽는 과정                   니다.
                 을 알지 못하기 때문에, 오늘날 공부                      “기와의 제작과정” https://youtu.

                 하는 학생들은 위의 내용을 바르게 해                    be/ko26D5Liq6E
                 석할 수 없는 것이 당연할지 모릅니

                 다. 그래서 공부가 책상머리에서만 다                      ‘달 감甘’은 중앙中央 토土의 맛입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것을 일깨워줍                      니다.  단맛은  모든  맛을  중화시키기

                 니다.                                     때문입니다.  중앙을  뜻하는  글자에
                                                         는 ‘붉을 단丹’도 있지요. 일편단심一

                   숫기와는 하늘[天]이니 음양陰陽으                    片丹心의 단심丹心은 붉은 마음인데
                 로 나누어지고, 암기와는 땅[地]이니                    ‘깊은 속마음’이라는 뜻입니다. 이방

                 춘하추동春夏秋冬 사계절로 나누어지                      원과 정몽주가 주고받은 하여가何如
                 게 되며, 숫기와는 기와 틀에 두 개를                   歌와 단심가丹心歌가 있지요.

                 맞대어서 하나로 만듭니다. 암기와는                       이  두  글자는  모두  ‘밭  전田’이나
                 방형으로 네 개의 기와 형틀을 붙여                     ‘우물 정井’과 그 뿌리를 같이 합니다.

                 서 하나로 만듭니다. 이 모양을 본뜬                      참고로  오미五味를  도표로  정리하
                 것이  ‘와瓦’字입니다. 또 이렇게 기와                  였습니다.

                 틀을 합한 것을  ‘와합瓦合’이라고 하                     ‘날 생生’은 만물이 땅에서 나온다는
                 고, 굳어진 기와 형틀을 헐어내는 것                    뜻으로,  땅土과  사람人  혹은  땅土과

                 을  ‘훼방毁方’이라고 합니다. 군자君                   싹乙로 보는 견해가 있습니다. 생生하


                 [五味]

                    방위         동(東)         남(南)          중(中)         서(西)          북(北)
                                신맛           쓴맛           단맛           매운맛            짠맛
                     맛
                               산(酸)         고(苦)          감(甘)         신(辛)          함(鹹)





                                                                               교양 및 문화   ┃  71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