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65 - 제3권
P. 465
정밀한 성과를 얻는 것이다. 당초에는 우리나라 중앙에 기본점을 설치하고 남과 북으로 차츰 확대하 463
여 나갈 방침이었으나, 시일 및 경기 등 사정으로 임시토지조사국에서 시행한 삼각측량은 멀리 바다 정치
를 건너 일본국의 쓰시마(대마도)에 있는 일본 육군 육지측량부가 이미 설치해 놓은 1등 삼각본점“온 / 행정
다께”와 “아리아께야마”에 연락하여 우리나라 절영도 및 거제도에 대삼각본점을 설치하고 거기에 의
탁하여 소삼각점을 배치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대삼각 본점, 대삼각보점, 소삼
각 1등점, 소삼각 2등점 총 34,437점의 대·소삼각점이 국토의 전체를 뒤덮게 하였다. 23)
우리나라의 대삼각본점망도는 다음의 그림과 같다.
пࠄݎب ഥ۸ Ҋӝࢶݎ
ա֞
ೣ࠘ݎ
ഌनоࢶݺ ҃ࢿ
ೣݎ
ҟܻ҅ࢶݺ ಣ࠘ݎ
ೣթݎ
ಣزݎ
न
ೣ൜ӝࢶݎ
नӝࢶݎ
ಣࢲݎ ೣಣݎ ೣ൜
ߧ ۹
ಣন
ਗन
թನ ಣনӝࢶݎ ೣъݎ ాੌਗ
ҳࣗпਗ
ݎ
҃೦ݎ рࢼӝࢶݎ ౠ߹ࣗпਗ
೧ݎ ъ࠘ݎ
ࢲ
ੌ
֢ӝࢶݎ
҅ন
ъթݎ
ݎ
ೂبݎ
উزӝࢶݎ
ӝࢶݎ
҃࠘ݎ
ъࢿ
ҵ ҃ݎ
҃ݎ
Ә
թݎ
ӝࢶݎ ഌ١ӝࢶݎ ݃
ҟ
ա
թ೧ݎ
݃ োۅݎ
ݾನ
हݎ
ઁݎ
1910년대 대삼각본점 측량에 종사한 측량기술자는 19명으로 일본인 12명, 한국인 7명이고 종사일
수 총계는 2,480일이다. 24)
경기도 수원(당시 오산시 소속 행정구역)군은 1절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구소삼각측량을 시행한 지
역으로서 삼각측량 지역과 구별하게 되었으나, 이 지역 안에 있는 삼각측량점은 일반삼각측량과 계
산상의 연결을 짓게 하여 하나의 삼각점에 구소삼각원점, 통일원점이 있다는 것이다.
23) 한국지적사, 1977. 11. 1, 원영희.
24) 한국지적사, 도서출판 바른길. 리진호 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