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45 - 제5권
P. 445

(2) 조선 말기와 일제 침략기의 사법체제

                    조선의 침탈을 꿈꾸던 일제는 청·일전쟁(淸日戰爭)후 국운이 쇠하는 조선의 내정(內政)에 직·간                                         443
                  접으로 간섭에 나서며 갑오경장(甲午更張)을 단행했다. 고종 32년(1895)에 선진국 사법제도를 모방
                                                                                                                  산업
                  해 같은 해 3월 25일 법률 제1호로 재판소법을 제정·공포하고 지방재판소, 개항재판소, 순회재판                                          · 경제

                  소, 고등재판소, 특별재판소 등을 설치했다. 재판소 직원은 판사(判事), 검사(檢事), 서기(書記), 정리
                  (廷吏) 등을 두고 판사와 검사는 일정한 자격시험에 합격한 자를 임명했다. 그러나 재판소가 없는 지                                          /  보건
                  역은 관찰사 등이 재판사무 등을 관장했지만 전문지식이 부족한 상황이 발생하자 전문용어들이 정비                                            · 환경위생

                  되기 시작했다. 이때 정부가 발표하는 것을 정령(政令) 또는 의안(議案)이라고 했고 처음으로 ‘법률’이

                  란 명칭을 사용했다. 이 같이 신식제도가 제정되어 공포되었지만 실제로 재판소가 개설된 곳은 한성                                           · 사회복지
                  재판소와 고등재판소에 한정되었다. 개항재판소는 개항장의 각 감리서(監理署)에 합설(合設), 각 관
                  찰사나 목사 등 감리자가 판사를 겸임하고 그나마 순회 재판소는 개소되지 않았다. 광무9년(1905) 11

                  월 17일 대한제국과 일본정부간 체결된 을사조약(乙巳條約) 제3조에 따라 경성(京城)에 통감부(統監                                          /  사법

                  府)를 인천·부산·진남포·마산·목포 등 기타 필요한 지역에 이사청(理事廳)을 설치했다. 이에 대                                           · 치안
                  한제국의 재판사무를 관장했으며 광무11년(1907) 12월 23일 재판소구성법(裁判所構成法) 및 동법 시                                      · 소방
                  행령이 공포됐다. 이전의 이심제를 삼심제로 하고 민사부와 형사부를 분리하고 각급 재판소에 검사

                  국을 설치하여 재판소를 법부에 두는 조항을 폐지했다. 통감부가 설치되면서 대한제국의 전권이 일                                            · 언론

                  제에 이관되어 융희3년(1909)에 재판권과 사법권 모두가 일제로 양도되었다. 1910년 8월 일제는 한
                  국을 강점함과 동시에 통감부를 폐지하고 조선총독부를 설치하였다. 그 해 10월 「조선총독부재판소
                  령」을 공포하고, 통감부 재판소의 간판을 각급 조선총독부재판소로 바꾸었으며, 통감부재판소 사무

                  를 조선총독부재판소에 인계하는 형식을 취하였다. 1912년 3월 「조선총독부재판소령」을 개정하여 고

                  등법원 아래 공소원을 복심법원이라고 개칭하고 초심인 지방재판소를 지방법원으로, 이전의 구재판
                  소를 지방법원 지원으로 변경하여 재판소를 3종 3심제로 정비하였다. 각급 검사국을 각급 법원에 부
                  설하고 지방법원 지원에는 검사국 분국을 부설하였다.

                    재판소의 명칭을 법원으로 통일한 이 제도는 「조선총독부재판소령」이 제2차 세계대전 말기에 일본

                  사법제도가 전시체제로 바뀔 때까지 33년간 계속 존속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이 점점 가열되어 말기
                  에 접어들자 일제는 1944년 「재판소구성법 전시특례」를 제정하고, 민형사재판을 전면적으로 2심제로
                  개정하였다. 이에 따라 그 해 2월 조선총독부도 「재판소전시특례」를 제정·공포하여 그 해 3월부터

                  시행하였다. 전시특례에 의한 재판소의 개편을 보면, 민형사사건 재판에 대한 전면적 2심제 채택은

                  물론 지방법원 단독판사의 재판관할권을 대폭 확장하였다. 그리고 복심법원을 상고재판소로 하고 지
                  방법원 단독판사의 재판에 대한 상고사건을 담당하게 하였으며, 고등법원은 지방법원 합의부사건에
                  대한 상고만을 심리하도록 하였다.
   440   441   442   443   444   445   446   447   448   449   4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