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73 - 오산문화총서 3집
P. 173
① 님신 : 임신, 무가에서 재차에 모셔진 신. 열두 제차 중 첫째거리 ‘부정’에 등장한 신
② 가망 : 한국 무속에서 신령들의 근원(根源)을 관장하여 굿문을 열고 신령과 인간이 만날 수
있게 하는 신령의 이름. 가망은 한국의 모든 지역굿에 나타난다. 굿의 초반부에 나타나며 신
들을 굿판에 모신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한국의 굿은 초반부에 항상 신격을 불러 모시는 걸
강조하는데 이것이 가망이라는 뜻
③ 시루셩신 : 증성신(甑聖神). 신께 올리는 제물인 시루떡과 그 시루에 임하는 신
④ 태일셩(太一星) : 대개는 ‘태을성(太乙星)’이라고 불림. 음양가들이 일컫는 신령한 별. 재화,
생사를 맡아 다스린다고 한다.
⑤ 태백셩(太白星) : 저녁 때 서쪽하늘에 나타나는 금성
⑥ 업위왕 : 집안에서 재수를 맡아 도와준다는 신(神)
⑦ 비금주수(飛禽走獸) : 날짐승과 길짐승을 통틀어 이르는 말
⑧ 가구 간(家口摘奸) : 집들을 살핌. ‘적간’은 부정(不正)이 있나 없나를 캐어 살핀다는 뜻
⑨ 인물추심(人物推尋) : 사람을 찾고 살핌. 추심(推尋)은 찾아내어 가져온다는 뜻
⑩ 동영 : 동령(東嶺). 동쪽 산이나 고개
⑪ 들이랑이 : 소리를 내어 판별하는 능력을 가진 아랫사람
⑫ 살피랑이 : 눈으로 살펴 판별하는 능력을 가진 아랫사람
⑬ 쇠직이 : 자물쇠를 맡은 사람
⑭ 동성방서리차고, 남성방 하긔하고 : 기온이 떨어져 밤이 추운 상태
⑮ 귀쟈형뎨 : 귀한 자식 형제
⑯ 석부졍부좌 : ‘석부정부좌(席不正不坐)’. ‘바르지 않은 자리엔 앉지 않음’을 말함. 한나라 유향
이 편찬한 “열녀전(列女傳)”에 나오는 태교를 강조한 구절임.
⑰ 이불 음셩 : ‘이불청음성(耳不聽淫聲)’. ‘음란한 소리를 듣지 않음’을 뜻함. “열녀전(列女傳)”
에 나오는 구절임.
⑱ 목불시이 : ‘목불시사색(目不視邪色)’의 오기. ‘나쁜 색(모습)을 보지 않음’을 말함. “열녀전
(列女傳)”에 나오는 구절임.
⑲ 활부졍불식 : ‘할부정불식(割不正不食)’의 오기. ‘자른 것이 반듯하지 않으면 먹지 않음’을 말
함. “열녀전(列女傳)”에 나오는 구절임.
⑳ 침불침좌불변 : ‘열녀전’에 나오는 ‘침불측 좌불변 입불필(寢不側 坐不邊 立不蹕)’의 오기. ‘소
학(小學)’에 ‘열녀전’을 인용해 “열녀전 왈 부인 임자 침불측 좌불변 입불필(烈女傳 曰 婦人 姙
子 寢不側 坐不邊 立不蹕)이 나오는 데 “열녀전에 말하기를 부인이 자식을 잉태하면 잠 잘
오산 12제차 중 ‘시루말’의 창세신화 고찰 1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