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3 - 오산문화 64호
P. 53
2017 VOL. 64 osan culture
1939년 『문장』지에 「산그늘」, 「가을 어스름」 등이 추천되
어 문단에 등단한다. 1946년에는 조지훈, 박두진과 함께
청록집을 발간함으로서 청록파 시인으로 문단의 주목
을 받게 된다. 자연, 향토적 서정민요가락으로 정지용으
로부터 북에는 소월, 남에는 목월이 있다는 칭호도 듣게
된다. 목월의 대표적 초기 시는 「청노루」 「윤사월」 「나그
네」 「산도화」 등이며, 이 작품들은 『청록집』 『산도화』 등
에 실려 있는데, 현실적인 삶과 가정을 소재로 한 중기
김동리 소설가 서재가 재현되어 있다. 사진 차상현
시는 『난·기타』 『청담』 등에 수록되어 있다. 그의 후기
시는 역사적 현실과 존재의 문제, 사물의 본질을 추구
하는 사념적 관념성으로 변화하기 시작한다. 『경상도 가
랑잎』 『사력질』 등에서 그러한 특질이 단적으로 나타난
다. 향토적 서정시인으로 칭송받고 있다. 그의 시를 낭
독해보자.
박목월(朴木月)의 시. 1946년에 지은 5연 10행의 단형시
이다. 작자의 초기작으로 조지훈(趙芝薰)·박두진(朴斗 박목월 시인 서재가 재현되어 있다
鎭)과 함께 낸 《청록집 靑鹿集》에 수록되어 있다. 조지
훈의 <완화삼(玩花衫)>에 화답한 시로 그 앞에 “술익는
강마을의 저녁놀이여”라는 <완화삼>의 일절을 부제로
달고 있다. 그리고 이 시에서 표현법의 특이성은 구마다
‘나그네’ ‘삼백리’ ‘저녁놀’과 같이 명사로 끊고 있는 점이
다.
또한 작자는 말하기를 이 시의 주제적 모티프는 “구름
에 달가듯이 가는 나그네”에 있다는 것이다. 그 제목이
박목월 흉상과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다 주제적 모티프가 되는 ‘나그네’는 바람과 함께 떠도
는 절망과 체념의 모습이기도 하다. 고향을 떠나 낯선
땅을 떠도는, 무엇인가 송두리째 잃은 듯한 상실감으로
허전해진 모습을 ‘나그네’에서 상기할 수가 있다. 이 시
는 《청록집》에 수록된 모든 작품에 통하는 그의 정신의 이렇게 다섯 번의 인문기행으로 2017년 오산문화원의
전우주(全宇宙) 같은 느낌이라고 스스로 밝혔듯이 민요 테마가 있는 인문학 기행은 마감을 하고 2018년 새로
적인 가락과 같은 향토색, 그 음악적 효음과 감각이 잘 운 주제로 시민에게 다가갈 것이다. 그동안 테마가 있는
조화되어 ‘남(南)의 목월(木月)’이란 정지용으로부터 찬 인문학 기행을 위해 도움을 주신 오산시 문화팀, 그리고
사를 받을 만큼 그를 대표하는 작품이 되고 있다. “우리 오산문화원 원장님과 김은자, 김명숙 부원장님, 그리고
나라 낭만시의 최고의 것”이라고 한 어느 논자의 말과 이사, 운영위원님들께도 감사의 말씀을 올린다. 무엇보
같이 향토적 자연에 동화된 곱고 아름다운 가락으로 이 다 전 과정 준비에 애써주신 김종욱 사무국장을 비롯한
루어진 서정시이다. 사무국 직원 분들께도 거듭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