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6 - 오산문화 64호
P. 56

차 한잔의 여유









                   을 깨고 나오려는 의지가 있다 하더라도 이미 무너                 은둔형 외톨이의 조건을 정의하고 다음과 같이 분
                   진 관계에서는 혼자서 벗어날 수 없음을 의미한다.                 류하고 있다. 첫째 조건은 가끔 학교를 안 가고 일

                   또한 그들은 이전에 관계 속에서 수많은 실패와 좌                 도 하지 않는다. 둘째는 현재 친한 친구나 같이 노
                   절을 경험하면서 받았던 상처를 고스란히 간직한                   는 친구가 없거나 한 명이다. 셋째는 외출을 하지
                   채 생활하고 있다. 주변의 충분한 지지와 관심, 그                않고 집에서 잘 나가려 하지 않는다. 위의 세 조건
                   리고 인내가 무엇보다 중요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중 하나에 해당되면 ‘잠재적 위험군’,  두 가지 이상

                   그리고 사회 시스템적으로는 복귀를 도와줄 수 있                  에 해당되면 ‘위험군’, 위의 모든 조건에 ‘3개월 이상
                   는 상담 및 교육 등 다양한 시스템 마련도 필요하                 학교를 가지 않고 일도 하지 않지 않는다.’가 포함되
                   다. 현재 일부 지역 청소년상담센터와 주민센터 등                 면 고위험군이라고 한다.
                   에서 은둔형 외톨이를 위한 방문서비스 프로그램                   청소년기는 질풍노도의 시기라고 한다. 정신적으로

                   (정서치료 프로그램, 대인관계 향상프로그램, 자기                 도 육체적으로도 폭풍성장기이며 자기정체성을 확
                   계발프로그램 등)을 진행하고 있는 곳도 생겨나고                  립해 나가는 예민한 시기이다. 아이 행동이 갑자
                   있지만, 무기력한 청소년들의 사회성 회복을 도와                  기 변하거나 친구와의 관계가 멀어지고 혼자 있으
                   왔던 민간단체 ‘유유자적 살롱’이 6년 만에 결국 문               려는 모습들이 보이는 잠재적 위험군에 해당될 때

                   을 닫게 된 것을 보면 아직 사회적 인식이 터무니                 아이가 더 이상 주변과의 관계를 끊지 않도록 아
                   없이 부족한 것 또한 사실이다.                           이와 함께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신뢰로운
                   상담을 하면서 앞서 서두에 적은 아이처럼 친구들                  가족관계 속에서 충분히 지지받고 있다고 아이가
                   에게 속마음을 제대로 털어놓지 못하거나, 그런 자                 느낀다면 시간의 차이는 있겠지만 언젠가는 회복

                   신의 모습을 가면을 쓴 로봇 같다고 말하는 친구                  될 것이다. 아이가 스스로를 자신의 세계 속에 가
                   를 가끔 만난다. 그래도 그런 아이들은 아직 힘을                 두기 전에 우리는 아이들의 소리 없는 비명을 가슴
                   가지고 있는 아이들이다. 상담을 통해 충분히 대                  으로 느껴야 한다.
                   인관계를 개선해 나갈 수 있다. 부모를 통해 오는

                   친구들도 마찬가지이다. 하지만 부모와의 관계가
                   단절되면 아이를 상담센터에 데리고 오는 것도 쉽
                   지 않고 설령 온다 하더라도 그 불신의 벽으로 인
                   해 상담사와 안정된 관계를 맺는 데 시간이 많이
                                                               약력  현 용인대학교 학생생활상담센터 전문상담원
                   걸린다.  따라서 아이들이 마음의 문을 닫고 스스
                                                                   전) 수원시청소년상담센터 상담원 근무
                   로를 가두기 전에 예방이 중요하다.                             교육학박사 수료.(상담전공)
                   2006년에 실시된 한국청소년상담원 연구에서는                       한국상담심리협회 회원




                   54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