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23 - 제2권
P. 223
76)
추측으로 검거한 것이었다. 뿐만 아니라 수원기자동맹이 집행위원회를 열었다가 임석 경관의 방해 223
77)
로 자진 중지당하였고, 이후에도 임시대회와 강연회 등이 계속 경찰의 금지와 방해로 무기한 연기 역사
78)
되기도 하였다. 또한, 수원소년동맹원 홍종근(洪鍾根, 18세)과 김장성(金長成, 18세)의 격문사건으 / 유적
로 수원군에서 활동하던 거의 모든 청년운동가들이 구속되는 등 고초를 겪어야 했다. 79)
이렇듯 일제의 탄압 속에서도 오산지역의 청년운동가들의 구심점에는 공석정과 변기재라는 인물 · 유물
이 있었다. 이들 인물들에 대해 살펴보면, 공석정은 수원군 성호면 오산리에서 출생했다. 그의 아버
지 공재헌은 공씨 집성촌인 오산 궐리에서 서당의 훈장을 지냈던 한학자였다. 때문에 공석정은 어려
서부터 한학을 수학했다. 그러면서 식민지 체제에 대한 모순을 일찍 간파하고 1920년대 초반 강원도
에서 교사생활을 하며 철원지역의 청년운동에 참여하였다. 1927년 6월 철원교육협회 발기인 총회에
81)
80)
서 기초위원으로 선임되었고, 이후 7월 강원도철원청년회의 신임집행위원으로 임명되어, 강원도
사회주의 대표 운동가였던 박용준(朴龍俊), 전상덕(全相德), 조덕오(趙德五), 김순익(金順益) 등과 조
82)
선청년총동맹 산하 조직으로 철원청년동맹을 조직하는데 가담하였다. 공석정은 철원지역에서 청
년운동에 관계한 직후 곧바로 고향 오산으로 돌아와 1927년 10월경부터 오산살청년동맹에서 활동을
시작했다. 오산살청년동맹에서의 공석정의 활동은 철원청년동맹의 조직 경험을 바탕으로 이루어졌
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그 경험은 수원군 청년동맹의 결성을 도모하는데 중요하게 작용한 것으로 파
악된다. 그는 지역 청년운동을 활발히 펼치다가 1930년을 전후한 무렵 수원군의 3대 지주인 차유순
(車裕舜)의 딸과 두 번째 결혼을 하였다. 이후 일제의 탄압이 거세지자 개인적인 문제 등으로 두 번째
부인을 동반하고 만주로 망명하였다고 전해진다. 83)
변기재는 1903년 수원군 성호면 오산리 출생이다. 변기재는 오산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한 후 인천공
립상업학교(仁川公立商業學校)에 입학하였는데 1학년을 다니다가 중도에 그만두고, 1925년 7월경 오
산의 집으로 돌아왔다. 그러다가 1926년 7월 일본 동경으로 유학을 갔다. 변기재도 일본 유학생활 동
안 사회주의 사상에 영향을 받았고, 1927년 4월경 고향 오산으로 돌아와서 활발한 사회주의 청년 활
동을 펼치기 시작했다. 그는 1928년 4월경부터 조선일보 오산지국장을 하는 한편 환성운송점오산영
76) 『東亞日報』 1930년 4월 8일 .
77) 『朝鮮日報』 1930년 8월 7일 .
78) 『朝鮮日報』 1930년 10월 18일, 1931년 1월 28일.
79) 『朝鮮日報』 1930년 10월 14일.
80) 『中外日報』 1927년 6월 8일 .
81) 『中外日報』 1927년 7월 17일 .
82) 『思想에 關한 情報』, 「治安維持法 竝 保安法 違反 被疑事件 檢擧에 關한 件」 鐵高秘 제2484호, 1933년 5월 24일 : 『思想에 關한 情報
綴(2)』, 「治安維持法違反 保安法違反事件 檢擧의 건」 江高秘 제160호, 1933년 6월 12일 ; 1927년 9월 박용준의 주도아래 당시 철원지역
의 鐵原靑年會, 鐵城靑年會, 無産靑年會, 五一靑年會의 단체가 단일동맹 체제로 규합하여 조선청년총동맹 철원청년동맹을 조직하였
다. 철원청년동맹은 비밀리에 서당 光星學院에서 1932년 4월부터 12월까지 무산아동 약40명을 교육하였다. 철원청년동맹은 무산아동
들에게 민족의식과 독립 사상 교육 등을 실시하여 조선의 독립과 공산주의 사회 실현을 목적으로 했다는 이유로 대대적인 검거와 탄압
을 받았다.
83) 孔信澤(1920년생, 오산 출신거주)의 증언에 따르면 공석정은 1920년대 초반 강원도 원주에서 교사생활을 하다가 몇 년 뒤 고향으로 돌
아왔다고 했다. 하지만 기록상으로 철원에서의 활동이 파악된다. 공석정은 어떠한 이유인지는 분명치 않으나 1920년대 초반 강원도에
서 활동하며 청년운동을 펼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철원청년동맹의 조직이 결성되자마자 다시 고향인 오산으로 돌아온 것으로 판단
된다.(조성운, 『일제하 수원군의 민족운동』, 국학자료원, 2003, 157쪽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