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06 - 제2권
P. 406

3. 갈곶동 유적(葛串洞 遺蹟)


                    중앙문화재연구원이 2005년도에 실시한 갈곶동 704번지 일원의 한솔아파트 건설부지에 대한 구
                  제발굴조사에서 확인된 유적이다. 오산천변의 평야지대에 해당하며, 고려~조선시대에 이르는 유구

                  49기와 21점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고려시대 유구는 돌널무덤 1기, 움무덤 1기 등이 있다. 돌널무덤은 대부분 멸실되었고, 출토된 유물

                  이 없으나 벽의 축조수법 등을 통해 보았을 때 오산 가장동 유적 등에서 확인된 고려시대 돌널무덤과
                  비슷한 양상을 보인다. 움무덤은 길이 2.4m, 너비 0.8m, 잔존 깊이 0.5m 정도이며, 무덤의 하단부

                  는 거의 멸실되었다. 내부에서 청자 병·완, 고려백자 접시 등이 출토되었는데, 청자 완의 경우 도면
                  을 통해 보았을 때 ‘청자 양각 연판문 발’로 추정된다. 이를 통해 보았을 때 해당 무덤은 고려시대 중

                  기인 12세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4. 궐동 유적(闕洞 遺蹟)


                    중앙문화재연구원이 2009~2011년에 걸쳐 실시한 궐동·금암동 일원의 오산 세교2지구 택지개발
                  사업부지에 대한 구제발굴조사에서 확인된 유적이다. 석산(해발 135.3m)에서 남동쪽으로 이어지는

                  낮은 구릉들이 분포하고, 이들 사이의 곡간부에 농경지가 위치하고 있었다. 조사 결과 청동기~조선
                  시대에 이르는 유구 252기가 조사되었으며, 716점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고려시대에 해당하는 유구로는 집터와 움무덤이 확인되었다. 집터는 1기가 확인되었는데, 내부에
                  서 온돌시설이 확인되었다. 할석을 이용해 고래를 축조하였으며, 아궁이는 삭평되어 남아있지 않았

                  다. 잔존하는 규모는 남-북 2.92m, 동-서 2.1m, 최대깊이 약 0.2m 정도이다. 남벽에 인접한 바닥
                  에서 청자접시가 1점 출토되었는데, 고려 중기에 제작된 지방청자로 시기는 12세기 중반 이후로 보고

                  있다.
                    움무덤은 대부분 5지점에 위치하고 있는데, 총 19기가 확인되었다. 무덤 내부에는 바닥의 중간에

                  구덩이를 파서 마련한 요갱(腰坑)이 위치한다. 출토유물은 청동발·청동병·청동거울·청동숟가
                  락·젓가락·동전 등의 청동유물과 철제가위, 불명철기 등의 철기, 도기병, 청자류가 출토되었다. 유

                  물은 13세기 후반~14세기 후반경에 해당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5. 금동관음보살입상(金銅觀音菩薩立像) 출토지


      오산시사          1965년 6월 7일 최창남 씨에 의해 금동관음보살입상이 발견되어 신고된 곳으로 신고 당시의 지번

                  은 화성군 오산읍 지곶리 산 219번지였으며, 현재 지번은 지곳동 219-19번지 일원이다. 유물은 경작
                  지 개간 과정에서 출토되었다고 하였는데, 현재도 밭으로 사용되고 있고 정확한 출토 위치는 알 수
      제

      2           없다. 출토된 보살상은 당초무늬가 투각된 화관을 쓰고 통견(通肩)의 법의를 걸치고 있으며, 수인(手
      권
                  印)은 통인(通印)이다. 뒷면 허리와 하체 부분에 광배를 부착하였던 2개의 돌기가 상하로 배치되어

                  있으나, 광배와 대좌는 없어지고 몸체만 남아있다. 양식상 고려시대의 작품으로 추정되는데, 제원은
    406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