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7 - 오산문화 68호
P. 57

2019  VOL. 68  osan culture

































              나주향교의 명륜당. 사진 차상현


              나주는 조선시대 전라도에서 2번째로 큰 고을이었                   한 명륜당과 동재, 서재가 배치되는 형태를 말한
              다. 나주향교는 우리나라의 대표적 향교로서 전라                   다. 반면에 전학후묘는 이와 반대되는 배치이다.
              남도 유형문화재 제128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이                  향교는 지방공립교육기관으로 설립되어 지방의 유

              향교의 대성전은 보물 제394호로 지정되어 있다.                  생을 교육하는 기관이다. 조선 중기의 양식으로
              5성(5聖), 송조 4현(宋朝四賢-주렴계, 정명도, 정               지어졌으며, 성균관의 대성전이 나주향교 대성전
              이천, 주자), 우리나라 18현(十八賢-설총, 최치원,               을 참조하여 지어졌다는 이야기도 있다.
              안향, 정몽주, 김굉필, 정여창, 조광조, 이언적, 이

              황, 김이후, 이이, 성혼, 김장생, 조헌, 김집, 송시              나주가 옛날에는 금성이었는데, 고려 태조는 금성
              열, 송준길, 박세채)의 위패가 모셔져 있다. 나주                 을 나주로 지명 변경했다. 금성관은 전라남도 유
              향교의 특징은 전묘후학의 형태로 일반적인 전학                    형문화재 제2호로서 나주목의 객사 정청이다. 객
              후묘의 배치와 다르게 되어 있다. 이유는 공자 아                  사란 지방 궁실로, 관찰사가 관할 구역을 순행할

              버지 위패를 봉안한 계성사(중국의 5성-공자, 안                  때 업무를 보던 곳이며, 중앙의 사신이 묵던 곳이
              자, 증자, 자사, 맹자-의 아버지를 모신 사당)를                 다. 지방 도읍지에 관아건물이 들어서면 중심축선
              두었기 때문인데, 계성사가 있는 곳은 이런 배치                   상에 동헌과 정문, 루문 등이 자리하고, 주변에
              를 하고 있다. 전묘후학의 구조는 앞쪽에 공자를                   육방관속의 건물과 내아들이 위치한다. 금성관 정

              비롯한 5성과 송조 4현, 우리나라 18현을 모신 대                문인 망화루는 일제강점기에 없어졌던 것을 2003
              성전과 동무, 서무가 배치되고, 뒤편에 강학을 위                  년에 복원했다. 목문화관은 나주가 고려 때부터




                                                                                                 55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