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 - 한미기업인친선포럼 25.9,10월 뉴스레터
P. 21

서  좋은  참고가  될  것  같아  소개한다.



            1985년  합의를  통하여  3년  기한으로  출범하였던  UR  협상은  농산물에  대한  교역규범
            마련과  무역자유화  문제에  합의하지  못하여  협상  진전이  없는  상태였다.  결국  7년  9개
            월  만에  협상을  끝내고  1995년  세계무역기구(WTO)  체제가  출범할  수  있었지만  당시

            김영삼  대통령은  “대통령직을  걸고  쌀  한  톨도  내어줄  수  없다”고  선언한  상태였다.



            당시  협상대표들은  ‘예외  없는  관세화’  원칙하에서  어떻게  우리  ‘쌀’에  대해  예외를  얻
            어낼  것인가  하는  난제에  처했었다.  이때  미국  무역대표부(USTR)에  썼던  방법은  “△
            농업은  한국경제의  다른  분야와  달리  개발도상국이다.  △농가소득  중  농업소득이  대부

            분(70%  정도)인데  쌀은  그  농업소득의  50%를  차지하는  가장  큰  단일품목이다.  △따
            라서  쌀  시장  개방은  한국농업과  농촌을  붕괴시키는  조치가  된다”고  주장하여  예외  적

            용을  관철시킨  바  있다.































            이러한  경험을  참고하여  이번  대미협상도  읍소(대통령  탄핵  위험  등)와  절박한  국내사
            정  설명(제2의  외환위기  위협  등)  등  시간이  지체되더라도  ‘최선을  다하겠다’는  모습을

            보이며  투자내용을  조율(즉,  ‘지정’된  프로젝트  진행상황에  따라  일부  입금  등)하는  것
            이  최선이라  생각된다.


            ※본  칼럼은  25.09.30  이투데이  곽노성의  논현로에서  전재한것임.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