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5 - 신구약 중간사
P. 25

베풀고  병원,  길,  학교,  다리등의  인프라를  그들을  위해  구축  해  주었던  현실성

               때문이라는  추후  연구가  있다.
               왕정국가→공화정국가(여러  사람이  다스리는  형식,  원로원의원들을  통해  집단

               지도체제로)
               →  줄리어스  시저가  황제가  되려고  일어난다.  원로원  입장에서  독제자를  원하지
               않았으므로  시저의  측근인  브루스트를  통해  암살시킨다.
               로마는  공화정을  원했으나  시저  때  부터  무너지기  시작한다.

               시저(=카이사르=가이사=황제라는  이름의  보통명사로  나중에  바뀌게  된다.)
               시저는  황제가  되지  못하고  양  아들인  옥타비아누스가  3 두  정치  중  1 인자가  된다.
               그  때  원로원이  옥타비아누스에게  '존엄한  자'라는  의미인  '아우구스투스'라는  권위를

               부여  해  준다. (성경  =아구스도)
               황제라는  명칭을  쓰지는  않았지만  추후  학자들은  황제와  비슷한  의미로  보고  1 대
               황제를  옥타비아누스로  본다.


               예수님이  바로  이  시기에  탄생하신다.
               눅 2:1 절  그  때에  가이사  아구스도가  영을  내려  천하로  다  호적하라  하였으니

               (가이사=  카이사르  =  황제  ,  아구스도(아우구스투스)
               원래  줄리어스  시저의  '성' (라스트  네임)이었는데  이  '성'이  황제라는  보통명사로

               바뀐다)
               1 대  황제의  명령으로  마리아와  요셉은  요셉의  고향인  다윗의  후손이므로
               베들레헴에  가서  호적하려  하는데  그  때  예수님이  탄생하신다.  로마가  제국의로서의
               첫  출발점인  시기에  바로  예수님이  탄생하신  것이다.  로마제국은  앞서  제국과  비교

               불가의  역대  최강국가가  된다.


               헤롯대왕

               로마입장에서  유대는  아프리카와  이집트로  갈  수  있는  다리와도  같은  전략적
               요충지이나,  끊임없이  반란,  봉기,  혁명을  하는  골치  아픈  땅이다.  게다가  유일하게
               다신교가  아닌  유일신을  믿는  유일한  나라였다.  그러므로  그  신앙과  정복자들의
               신앙이  끊임없이  부딧히는  것이다.  그  예로  헬라시대  에피파네스와  부딧힌  마카비
               혁명을  들  수  있다.  그러므로  독특한  유대를  위해  관용정치를  한다.  로마총독을
               파견하여  정치와  군사권만  주고  나머지  내정과  종교는  대제사장에게
               맡겼다.(이원집정체제)  그리고  또  하나  분봉왕제도를  만들었는데,  로마가  점령한
               나라를  자신들이  직접  통치하는  것이  아니라  토착세력에게  위임하는  것이다.  그

               분봉왕으로  로마는  헤롯을  선택했다.
               헤롯은  로마에  살아보아  총독과도  친분이  있고  유대  전통을  알고  있으므로
               제사장들과도  잘  지냈다.  동시에  로마에  절대충성의  인물이므로  골치아픈  유대를
               효과적으로  통치  가능하다고  생각했다.

               헤롯대왕은  BC40 년~4 년까지  36 년간  로마  승인아래  로마  분봉왕으로  통치를

               했다.(군사-총독,  헤롯-내정,  대제사장-종교)
               헤롯대왕은  유대인으로  귀화한  에돔  출신이므로  유대인에게  환심을  사야했고,

               로마인에게도  잘  보여야  했다.  그래야  권력이  튼튼하게  되므로
               예루살렘  성전  건축(헤롯성전)을  하게  된다.(포로귀환  때  재건  된  스룹바벨  성전은
               매우  형편없는  상황)  매우  큰  규모로  제사장  1000 명을  석공으로  훈련시켜서
               지성소와  성소를  건축하게  한다.  기초  공사의  깊이만  45m .  후에  예수님당시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