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7 - 부안이야기19호
P. 17

졌다. 술집에서는 밤새도록 장구소리와 북장단으로                        이르는 2등 도로, 군청과 면소재지를 연결하는 3등 도
                   뚱땅거렸고 일본노래들도 심심치 않게 들렸다.                6)        로, 그리고 등외도로다.
                     큰다리가 행정구역으로는 하서면에 속했지만 행안                        도로를 만들 때 농지를 잠식하거나 도로 개수 시기

                   바닷가 사람들은 이곳을 내 집 드나들 듯 했다. 돈지                     가 농사철과 겹치면 농민들의 어려움은 컸다. 1924년
                   사람들이나 산내 사람들, 중계 사람들은 큰다리를 거                      에 행안면 바닷가를 지나는 등외도로 건설이 있었다.
                   쳐야 부안으로 갈 수 있었다. 부안에서 일보고 가던 산                    농민들이 개간한 논에는 농사를 위해 겨울부터 논에
                   내 사람들은 해질녘에 이곳에 닿으면 주막에서 하룻                       다 물을 잡아 두어야했다. 그러나 행안에서는 봄에 도

                   밤 몸을 풀고 다음 날 발길을 재촉했으니 큰다리는 근                     로를 개수하려다 보니 도로가 지나는 수문 근처의 논
                   방의 교통의 요지였다.                                      을 갈아엎어서 물이 고이지 않도록 조치했다. 봄에 신
                     큰다리 건너기 전 오른쪽에는 매가리간
                   이 있었는데 큰 부자인 미츠나가(松場)의

                   대교지점이다. 이곳 사람들은 송장이 운
                   영하는 매가리간을 ‘산쟁이 매가리간’이
                   라고 불렀다. 해방 전까지도 풍요로웠던
                   큰다리 주변에는 사람들이 많이 꼬였고

                   일본사람들도 상당히 살았다. 그리고 다
                   리 건너 왼편에는 현재 대교교회가 자리
                   하고 있는데 당시에는 하서주재소가 있
                   던 곳이다.

                     삼간평 아이들에게 두포천은 놀이터였
                   다. 이곳에서 멱을 감고 고기도 잡았다.
                   대교 관문의 물을 빼는 날이면 풍천장어,
                   메기, 참게 등이 많이 잡혔다. 밤에도 관

                   솔불을 들고 밤새도록 민물고기를 잡느
                   라 주변 마을 사람들로 시끌벅적했다.




                   신작로 건설과 농사짓기



                     일제강점기에는 도로의 등급을 4종으
                                                                   나문재의 독성 및 흉년으로
                   로 구분하였다. 경성으로부터 도청 소재                           행안면에 부종환자가 100여 명
                                                                   발생했음을 알리는 기사
                   지나 주요 철도역을 잇는 1등 도로, 도청                         「동아일보」 1924.10.17.
                   소재지 간 혹은 도청 소재지에서 군청에



                   6)고삼곤 증언.




                                                                                                                  017
                                                                                         기획특집1_행안면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