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3 - 데이터과학 무엇을 하는가? 전자책
P. 213

보았듯이 활용 계획과 고급 운영 기술 인력을 일순위로  고 예산을
                     다.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는 일을 하는 데 필요한 도구일 뿐이고 정작

                     성과를 내는 것은 어떤 인력이 어떤 기술과 실력을 갖추고  마나 잘 활

                     용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인적 자원의

                     기술과 실력이 최우선이다. 사람은 기계나 프로그 을 위해 있는 것이
                     아니라 그 도구들을 활용하는 주체다. 주체를 무시하는 예산 편성의 결

                     과는  이 따져보지 않아도 짐작할 수 있다.

                       과거에 많은 CRM이 실 했던 요인들은 향후 빅데이터 활용의 실

                     원인이 될 수 있다. 빅데이터 시대라 해서 관행이나 문화가 저절로 달라
                     지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많은 빅데이터 전문가들이

                     중앙집중 조직, 기술의 내재화, 클로즈 루프 프로세스(Close Loop Process)

                     와 프로세스의 문서화, 즉 데이터 거버 스의 확 을 제시하고 있는 것

                     이다. 이 모두를 획기적으로 한 번에 다 바꿀 수는 없겠지만 차근차근 기
                     본적인 것 그리고 가능한 것부터 바 가야 할 것이다.






                             데이터 활용  장기   ,     한가


                             미국 CRM 전문 컨설팅 업체인  클리어스(Nucleus) 연구소
                     의 발표에 따르면, CRM을 통해 얻는 혜택이 최대 100%라고 가정할 때

                     직접적 매출 증가 혜택은 30%이고 간접적 혜택이 70%라고 한다. 또한

                     인프라 도입이나  루션 개발 후 평균 2.5~3년이 지나야 실질적인 효

                     과가 나타나기 시작한다고 한다. 실정이 이러할진대 기업이 CRM을 도


                                                                                 211
   208   209   210   211   212   213   214   215   216   217   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