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2 - 전시가이드 2025년 07월 - 이북용
        P. 32
     단청과 컨템포러리 아트
                경복궁 신무문 전경
        사령(四靈)의 거북,                                     거북은 단청에서 사령(四靈) 중의 하나인 신령스러운 동물로 여겨서 주로 북
                                                        쪽에 있는 궁궐의 문이나 성문의 천장에 그려졌지만 사신(四神) 중의 하나인
        사신(四神)의 현무                                      현무(玄武)는 북쪽 방위를 상징하는 신수(神獸)로서 주로 고구려 시대의 고
                                                        분 벽화로 그려졌다.
                                                        현무는 중국으로부터 전해진 음양오행 사상에 따라 북쪽을 상징하고 오행 중
        글 : 박일선 (단청산수화 작가, (사) 한국시각문화예술협회 부회장)
                                                        수(水)에 해당하며, 단순한 신화적 이미지일 뿐만 아니라 고대 미술과 사상, 그
                                                        리고 종교관이 집약되어 있다. 장수와 생명력, 부활의 상징으로서 죽은 자의
        거북은 지구상에 서식하는 파충류 중 가장 오래된 동물 중 하나로서 예부터        영혼을 보호하고자 하는 믿음을 반영하여 거북과 뱀이 서로 얽힌 형태의 도상
        장수와 지혜, 복을 가져다주는 상서로운 동물로 여겼다. 고대 중국 하(夏)나라     을 강한 선묘로서 생동감 있게 표현하였다.
        의 우(禹)임금이 치수를 할 때 낙수(洛水)에서 나온 거북의 등에 마흔다섯 점
        의 글씨를 낙서(洛書)라고 하는바 하도(河圖)와 함께 주역(周易)의 바탕이 되     이는 고구려가 중국과는 다른 독자적인 방식으로 사신을 수용하고 재해석하
        었다고 한다. 또한 중국의 초기 문자인 갑골문(甲骨文)도 거북의 등에 기록된      였으며, 문화의 토착화 사례라고 생각된다. 고분에 그려진 현무도는 단지 장
        것이며, 점을 칠 때 복사(卜辭)로도 쓰였다. 인도의 힌두교에서는 세계를 떠받     식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사후 세계에서 망자의 안녕과 보호를 기원하는 상
        치는 존재로서 비슈누(Viṣṇu) 신의 두 번째 화신인 쿠르마(Kurma)가 거북으  징물이었으며, 특히 동서남북 방위별로 청룡, 백호, 주작, 현무를 배치한 구조
        로 등장해 우주를 지탱하였다고 믿었다.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는 아프로디테        는 공간을 우주론적으로 해석하려는 시도이자, 죽은 자를 위한 성스러운 공
        (Aphrodite)와 관련하여 여성성과 다산을 상징하거나 헤르메스(Hermes)가   간의 구축을 의미하였다.
        거북 등껍질로 리라(lyra)라는 악기를 만들었다는 신화가 전해온다.
                                                        유럽 회화에서는 르네상스 이후 동물을 자연주의적 관찰의 대상으로 삼아 사
        우리나라에서 거북은 장수의 상징이자 복을 가져다주는 신령스러운 동물로          실적으로 그리는 경향이 있었다. 레오나르도 다 빈치(Leonardo da Vinci)의
        인식되었다. 거북이 하면 한때 비행기라는 노래로 인기를 누렸던 대중가수도        해부학 스케치처럼 동물도 과학적 관심의 대상이 되었고, 거북은 자연사 삽
        생각나겠지만, 정작 생각나는 것이 있다면 임진왜란 때 구국의 영웅인 이순신       화나 박물학적 기록에 등장하였다. 19~20세기 예술가들은 거북을 시간의 느
        장군이 만들어 왜적을 물리치는데 혁혁한 공을 세운 혁신적인 전함인 거북선        림, 단단한 등껍질에 의한 보호, 내면세계에 대한 은유의 소재로 사용했다.
        이다. 무섭고 용맹스러운 동물을 상징으로 삼아 전장을 빠르게 누벼야 할 텐       초현실주의를 대표하는 살바도르 달리(Salvador Dali)의 그림에서도 거북은
        데 느려터진 거북이를 모델로 삼았다는 것이 기발하다.                   변형된 모습으로 꿈과 무의식의 상징이 되기도 하였다. 거북이 그림은 단순
                                                        한 동물 묘사를 넘어서서 철학적 의미, 문화적 가치, 시간성과 생명력 등을 담
        30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