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8 - 전시가이드 2024년 03월 이북
P. 38

단청과 컨템포러리 아트













































         하인두, 혼불-빛의 회오리, 1989, 캔버스에 유채, 194×261.5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단청과 한국의                                         예용해(芮庸海, 1929~95) 선생의 <단청론>을 인용하자면 단청을 '붉고 푸른
                                                        빛깔을 주로 하여 몇 가지 색을 써서 무늬와 그림을 그린 것'이라고 하였다.
        기하학적 추상미술                                       여기에 덧붙여서 '단청은 목조건축물에 입혀서 장엄(莊嚴)하는 경우와 조상(
                                                        造像), 공예품 등에 설채(設彩)하는 경우 및 석조건축(石造建築)과 고분(古墳)
                                                        에 시채(施彩)하는 경우에 쓰인 서(書), 회(繪), 화(畵)를 총칭하는 이름이기도
                                                        하다. 또 흰 바탕에 색을 올리거나 그림을 그리는 과정을 말하는 낱말이기도
        글 : 박일선 (단청산수화 작가, (사) 한국시각문화예술협회 부회장)
                                                        하고 시채 된 상태를 통틀어서 말하는 넓은 뜻으로도 쓰인다.
        단청은  디자인적이면서  회화적  요소가  가미된  우리나라의  독특한  전통     단청은 주로 청(靑), 백(白), 주(朱), 흑(黑), 황(黃)의 다섯 가지의 색을 서로
        예술이자 문화이다. 단청에 쓰이는 오방색은 대담하고도 강렬한 우리의 전통        얼러서 화형(畵形)을 이루어 나가며 물감은 광물성의 암채(岩彩)를 쓴다.
        색채로서 고대로부터 이어져 온 우리 민족의 섬세하고도 뛰어난 색채 감각과        그러나  오랜  세월에  걸쳐서  목조건물에  가장  많이  쓰여  왔으므로  단청은
        미의식을 담고 있으며, 우리 민족의 얼과 신명, 정서를 표현함으로써 그 어떤      실재에  있어서나  일반의  인식에  있어서나  목조건물과의  상관(相關)에
        장르의 예술보다 화려함과 장엄함의 극치를 보여주는 색채 예술이기도 하다.        치우치게 되고 따라서 명칭도 여러 가지다. 즉 단확(丹臒), 단벽(丹碧), 단녹(
        단청은 대칭(symmetry), 반복(repetition), 점층(gradation)의 특징을 가지고   丹綠), 진채(眞彩), 당채(唐彩), 오채(五彩), 화채(畵彩), 단칠(丹漆) 등이 단청의
        있어서  화려하면서  정제되고  통일된  멋을  보여  준다.  우리  민족이  아끼고   또 다른 이름들이다.
        오늘날까지 소중히 이어온 단청의 문양과 형태는 빼어난 조형미와 숭고한          단청일을 하는 사람들은 화사(畵師), 화원(畵員), 화공(畵工), 가칠장(假漆匠),
        전통의 아름다움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다.                         도채장(塗彩匠)이라 부르며 승려(僧侶)로서 단청을 하면 금어(金魚), 화상(畵
                                                        像)이라 불렀다. 금어나 화상들은 불사(佛事)아닌 속사(俗事)에도 관여하는
        이러한  단청에  대한  정의는  많지만  맥락은  거의  대동소이한데  1960년대   수가 있었고, 속인(俗人)인 화사나 화원들이 불사에 종사하는 경우도 있었다.'
        한국일보  논설위원이며,  우리나라  인간문화재의  제도를  도입하게  하신      라고 설명한다.


        36
        36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