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3 - 2019년전시가이드07월
P. 33

강주희 칼럼












                    개회사 (회장: 이은적 대구교육대학교 교수)               경기도교육청 김혜경 장학사                 한국예술연구소 최나영 박사













                          치악초등학교 박찬수 교사 발제                                  종합 토론 2



             2019 세계문화예술교육주간                                학의 이론에 근거한 정책적 차원의 논의가 이루어졌다.
             한국문화교육학회 문화예술교육 유관학회 세미나
                                                            후반부에서는 학교-지역 연계 문화예술교육의 실행 사례를 중심으로 진행되
            ‘학교문화예술교육,                                      었다. KC대학교 백미현교수가 학교와 지역사회가 연계하는 여러 종류의 문화
                                                            예술교육 지원사업들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과 만족도, 효과성에 대한 분석 결
                                                            과를 토대로, 두 관계 부처의 학교-지역 연계 문화예술교육의 정책적 방향, 지
            지역사회와 연계를                                       향점, 효과성의 접점과 서로 다른 양상을 비판적 시선으로 바라보았다. 신한
                                                            대학교 김민화 교수는 그림책 창작, 원화전시 및 낭독 공연 사례를 통해 자생
                                                            적·자발적으로 학교와 지역사회가 연계하는 문화예술교육 실행 경험과 그 경
            논하다’                                            험적 효과를 소개하였다. 이는 하향식 교육정책의 한계를 극복하고 상향식의
                                                            학교-지역 연계 문화예술교육 실천의 가능성을 열었다는 점에서 그리고 이를
                                                            위한 정책적 차원의 고려가 있어야 한다는 점에서 의미 있었다. 마지막으로,
            글 : 강주희(목원대학교 교수)                               치악초등학교 박찬수 교사는 학교-지역 연계 문화예술교육을 실행했던 현장
                                                            교사의 시선에서 지원사업과 이에 따른 교육적 실행의 양상에 따라 발전단계
                                                            를 유형화함으로써 관련 정책이 현장에서 장기적·지속적으로 실행될 수 있는
            지난 5월 25일 한국문화교육학회는 한국예술종합학교 대학로 캠퍼스에서 세        현장 밀착형 조건을 제시하였다.
            계문화예술교육주간을 맞이하여 ‘학교문화예술교육, 지역사회와 연계를 논
            하다’라는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하였다. 세미나는 총 6개의 발제와 토론으로       토론 세션에서는, 국내외의 문화예술교육 관련 논의, 특히 유네스코의 문화예
            구성되었으며 전반부에는 학교-지역연계 문화예술교육 정책에 대한 이해, 후        술교육 비전, 서울 아젠다 등에서 가장 중요하게 논의된 것 중 하나로써 문화
            반부에는 학교-지역 연계 문화예술교육 실행 사례를 소개하고 이에 대한 논        예술교육에서의 지역의 중요성, 역할, 의미를 다시금 반추하는 기회가 되었다.
            의가 이루어졌다.                                       또한 지역사회와 연계하는 (학교)문화예술교육은 정책적으로 다양하게 실행
                                                            되고 있고 학습자의 긍정적인 반응이 나타나고 있으나, 보다 근본적인 차원
            전반부 첫 번째 발제자인 김혜경 경기도교육청 장학사는 교육부에서 추진하         에서 지역사회와 연계하는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철학, 방향, 지향점, 과연 어
            는 다양한 학교-지역사회 연계 정책의 방향과 추진 현황을 소개하였다. 이제       떠한 것을 교육적 효과로 볼 것인지 등에 대해서는 논의가 부족했음을 지적
            까지의 학교예술교육활성화 정책은 학교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활동을 지          하였다. 그 외에도 실제 학교, 교사 수준에서 직면하게 되는 현실 및 이에 대
            원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면 근래에는 학교 안과 밖의 연계를 통한 지속가        한 정책적 해결 방안, 정책 의 지속성 및 대안적인 유형으로서 민간 영역과 협
            능한 운영 모델 창출로서의 접근으로 변화함에 따라, 학교 및 학생 수요를 반      력하는 학교-지역 연계 문화예술 교육의 양상(예. 지역사회 사회적 기업의 참
            영한 새로운 예술교육 프로그램 지원과 개발과 교육지원청과 지역 유관 기관        여 등) 등이 논의되었다.
            의 협력적 관계 구축 등이 요구 되고 있다. 두 번째 발제는 대구교육대학교 이
            은적 교수, 목원대학교 강주희 교수, 한국예술연구소 최나영 박사가 공동으로       위와 같이 지역연계를 통한 지속가능한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전략에 대한 탐
            학교-지역사회 연계 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실제 학교에서의 실행         색과 다양한 논의들은 향후 관련 정책이 학교-지역 연계 문화예술교육 현장
            을 안내하고 지원하는 구체적인 모형과 단계별 전략, 질적으로 우수한 지역사       의 개선 및 질 관리를 위하여 추가적으로 어떠한 유형의 지원을 제공하고, 교
            회 연계 학교문화예술교육의 지향, 이러한 문화를 조성하는 방안을 제안하였        사는 교육자로서 어떠한 마음가짐과 전문성을 갖추어야 하는지, 장기적 관점
            다. 전반부 마지막 발표로 한국예술연구소 최나영 박사가 문화예술교육의 질        에서 관련 정책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필요한 후속 정책과 연구, 구체적 실천
            관리를 위한 교사의 역할과 책임에 대하여 교육개혁, 교사교육 분야 최고 석       전략을 수립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31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