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0 - 전시가이드 2020년 03월호 이북
P. 20

이주연 컬럼


        [연구 소개] 초·중·고 미술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을 통한 개선 방안 연구:학교미술교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주목해
        야 할 3가지 핵심 주제 ‘동시대 미술’, ‘지역사회 연계 미술(공공미술)’, ‘미술 감상·미술관교육’를 중심으로

        글 : 이주연 (경인교육대학교 교수)


















                                                                  김병호 작가는 본 연구와 관련하여 개최된 전
                                                                  문가 세미나(2019.10.26.)에서 <공통의 정서,
                                                                  공공미술>을 주제로 기조 발표 시 공동의 정
                                                                  서를 담은 사례로 본 작품을 소개하였다(전시
                                                                  가이드 2019년 12월호 이주연 컬럼 참조). 종
                                                                  교, 민족, 정치, 신분, 사상, 빈부격차를 초월하
        김병호_매개기억(媒介記憶)_청동_366(h)x108x108cm_2016                   여 공동체의 안녕을 기원하는 매개로서 탑을
        (순천 송광사 설치/현재 아모레퍼시픽미술관 소장)                               선택하여 서로에게 관계성을 지니는 모듈의
                                                                  조합으로 표현한 것이다.




        예술 유통의 활성화 및 예술기관의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예술인 및 예술기관       체’로, ‘미술 감상·미술관교육’은 ‘삶과의 연계’, ‘태’도, ‘작품감상법’, ‘미술관교
        을 지원해 온 예술경영지원센터(2006년 설립. 대표 김도일)는 예술교육의 활     육’으로 제안하였으며, 이게 기초하여 학교미술교육을 분석하고 학교급별 교
        성화를 위해서 학교교육의 중요성을 깨닫고 정부의 다개년 계획 중 학교미술        과서 내용을 제안하였다.
        교육에서 우선적으로 점검해야 할 중요 사안들에 주목하여 2019년 연구 사
        업(“초·중·고 미술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을 통한 개선 방안 연구” 연구기    이 연구 에는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개최된 전문가 세미나(2019.10.26.)와 5
                                                            2)3)
        간: 2019.08.26.-2020.02.28.)을 제안하였다. 이 사업은 제4차 산업혁명 시  차에 걸친 전문가 자문회의가 포함되는데, 학교미술교육 전문가들과 미술가
        대 융·복합의 한 축을 담당하는 미술의 의미와 가치를 재인식하기 위한 방안       들은 학교와 지역사회의 문화적 담론 요구에 부합하는 미술교육의 방향을 제
        으로 학교미술교육에서 동시대 미술이 강화되어야 한다고 보았으며, 삶과의         안하는 데 도움을 주었으며, 이 논의들은 추후 학교미술교육의 강화를 위하
        관련 속에서 지역사회와 연계된 미술을 이해하고 체험할 수 있는 학습이 학        여 차기 미술과 교육과정 및 학교급별 미술 교과서 개발 시 교육과정 개발
        교미술교육을 통해 제안되어야 하고, 생활 속 미술을 실제적으로 체험하기 위       진, 교과서 집필진, 출판사 모두에게 공유, 보급되어 추후 미술교육 정책 반
        한 미술 감상 및 미술관교육이 학교미술교육에서 지금보다 더 강화되어야 한        영을 위한 기초 자료로써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를 통해 무엇보다
        다고 보았기 때문에 학교미술교육의 현황 분석과 이에 기초한 개선 방안 제        도 중요하다고 느낀 점은 그동안 학교교육은 교육부를 중심으로 지원되어왔
        안을 목적으로 한다.                                     으나, 문화체육관광부와의 긴밀한 연계 속에서 예술경영지원센터가 학교미
                                                        술교육에 주목했다는 것이었다. 미술문화를 향유할 미래 세대의 육성을 위
        본인을 포함하여 그동안 동시대 미술과 지역사회 미술, 공공미술, 미술 감상,      해 학교미술교육에 기울인 이러한 귀한 관심을 적극 환영하며, 앞으로 미술
        미술관교육 등에 관심을 두고 관련 연구를 개별적으로 수행해 온 연구진(이        교육을 포함하여 학교예술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모두의 노력이 결실을 맺기
        주연, 류지영, 고황경, 양정인)은 이러한 사업 배경과 취지에 공감하면서 교      를 바라마지 않는다.
                                              1)
        육부와 문화체육관광부의 예술교육 강화 방안 및 미술 진흥 계획 과 맥을 같
        이 하면서도 학교미술교육에서 동시대 미술의 교육과 더불어 일상생활 속에
        서 미술을 다양하게 즐길 수 있는 환경적 요건으로서 지역사회와의 네트워킹        1) “초·중등예술교육활성화기본방안”(문화체육관광부·교육과학기술부, 2010), “학교예
                                                        술교육중장기계획”(교육부, 2018), “학교예술교육활성화기본계획”(교육부, 2019; 2020),
        을 고려하고, 미술관교육을 포함한 미술 감상의 활성화가 학교미술교육의 역
                                                        “미술진흥중장기계획(2018-2022)”(문화체육관광부, 2018)
        량 강화에 밑거름이 된다고 판단하고, 본 사업에 따른 연구의 핵심 주제로 ‘동     2) “학교미술교육 강화를 위한 미술 교과서 내용 개선 제안 - ‘동시대 미술’, ‘지역사회 연
        시대 미술’(contemporary art), ‘지역사회 연계 미술(공공미술)’(community-  계 미술(공공미술)’, ‘미술 감상·미술관교육’의 3가지 핵심 주제를 중심으로 -” (이주연, 류
        linked art)(public art), ‘미술 감상·미술관교육’(art appreciation·museum art   지영, 고황경, 2020. 조형교육 제73집)
        education)의 3가지를 선정하였다. 또한 이 3가지 핵심 주제별로 학교미술교  3) “학교미술교육 강화를 위한 미술교육의 내용 및 방향 - ‘동시대 미술’, ‘지역사회 연계
                                                        미술(공공미술)’, ‘미술 감상·미술관교육’에 대한 전문가 자문 내용을 중심으로 -” (류지영,
        육에서 교과 내용 구성 시 필수적으로 포함되고 균형적으로 접근해야 하는 내
                                                        이주연, 고황경, 2020. 미술교육연구논총 제60집)
        용 요소로서 분석기준을 ‘동시대 미술’은 ‘이슈’, ‘매체’, ‘조형 요소와 원리’, ‘감
        상’으로, ‘지역사회 연계 미술(공공미술)’은 ‘장소 정체성’, ‘이슈’, ‘참여’, ‘공동

        18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