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0 - 전시가이드 2020년 03월호 이북
P. 20
이주연 컬럼
[연구 소개] 초·중·고 미술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을 통한 개선 방안 연구:학교미술교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주목해
야 할 3가지 핵심 주제 ‘동시대 미술’, ‘지역사회 연계 미술(공공미술)’, ‘미술 감상·미술관교육’를 중심으로
글 : 이주연 (경인교육대학교 교수)
김병호 작가는 본 연구와 관련하여 개최된 전
문가 세미나(2019.10.26.)에서 <공통의 정서,
공공미술>을 주제로 기조 발표 시 공동의 정
서를 담은 사례로 본 작품을 소개하였다(전시
가이드 2019년 12월호 이주연 컬럼 참조). 종
교, 민족, 정치, 신분, 사상, 빈부격차를 초월하
김병호_매개기억(媒介記憶)_청동_366(h)x108x108cm_2016 여 공동체의 안녕을 기원하는 매개로서 탑을
(순천 송광사 설치/현재 아모레퍼시픽미술관 소장) 선택하여 서로에게 관계성을 지니는 모듈의
조합으로 표현한 것이다.
예술 유통의 활성화 및 예술기관의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예술인 및 예술기관 체’로, ‘미술 감상·미술관교육’은 ‘삶과의 연계’, ‘태’도, ‘작품감상법’, ‘미술관교
을 지원해 온 예술경영지원센터(2006년 설립. 대표 김도일)는 예술교육의 활 육’으로 제안하였으며, 이게 기초하여 학교미술교육을 분석하고 학교급별 교
성화를 위해서 학교교육의 중요성을 깨닫고 정부의 다개년 계획 중 학교미술 과서 내용을 제안하였다.
교육에서 우선적으로 점검해야 할 중요 사안들에 주목하여 2019년 연구 사
업(“초·중·고 미술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을 통한 개선 방안 연구” 연구기 이 연구 에는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개최된 전문가 세미나(2019.10.26.)와 5
2)3)
간: 2019.08.26.-2020.02.28.)을 제안하였다. 이 사업은 제4차 산업혁명 시 차에 걸친 전문가 자문회의가 포함되는데, 학교미술교육 전문가들과 미술가
대 융·복합의 한 축을 담당하는 미술의 의미와 가치를 재인식하기 위한 방안 들은 학교와 지역사회의 문화적 담론 요구에 부합하는 미술교육의 방향을 제
으로 학교미술교육에서 동시대 미술이 강화되어야 한다고 보았으며, 삶과의 안하는 데 도움을 주었으며, 이 논의들은 추후 학교미술교육의 강화를 위하
관련 속에서 지역사회와 연계된 미술을 이해하고 체험할 수 있는 학습이 학 여 차기 미술과 교육과정 및 학교급별 미술 교과서 개발 시 교육과정 개발
교미술교육을 통해 제안되어야 하고, 생활 속 미술을 실제적으로 체험하기 위 진, 교과서 집필진, 출판사 모두에게 공유, 보급되어 추후 미술교육 정책 반
한 미술 감상 및 미술관교육이 학교미술교육에서 지금보다 더 강화되어야 한 영을 위한 기초 자료로써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를 통해 무엇보다
다고 보았기 때문에 학교미술교육의 현황 분석과 이에 기초한 개선 방안 제 도 중요하다고 느낀 점은 그동안 학교교육은 교육부를 중심으로 지원되어왔
안을 목적으로 한다. 으나, 문화체육관광부와의 긴밀한 연계 속에서 예술경영지원센터가 학교미
술교육에 주목했다는 것이었다. 미술문화를 향유할 미래 세대의 육성을 위
본인을 포함하여 그동안 동시대 미술과 지역사회 미술, 공공미술, 미술 감상, 해 학교미술교육에 기울인 이러한 귀한 관심을 적극 환영하며, 앞으로 미술
미술관교육 등에 관심을 두고 관련 연구를 개별적으로 수행해 온 연구진(이 교육을 포함하여 학교예술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모두의 노력이 결실을 맺기
주연, 류지영, 고황경, 양정인)은 이러한 사업 배경과 취지에 공감하면서 교 를 바라마지 않는다.
1)
육부와 문화체육관광부의 예술교육 강화 방안 및 미술 진흥 계획 과 맥을 같
이 하면서도 학교미술교육에서 동시대 미술의 교육과 더불어 일상생활 속에
서 미술을 다양하게 즐길 수 있는 환경적 요건으로서 지역사회와의 네트워킹 1) “초·중등예술교육활성화기본방안”(문화체육관광부·교육과학기술부, 2010), “학교예
술교육중장기계획”(교육부, 2018), “학교예술교육활성화기본계획”(교육부, 2019; 2020),
을 고려하고, 미술관교육을 포함한 미술 감상의 활성화가 학교미술교육의 역
“미술진흥중장기계획(2018-2022)”(문화체육관광부, 2018)
량 강화에 밑거름이 된다고 판단하고, 본 사업에 따른 연구의 핵심 주제로 ‘동 2) “학교미술교육 강화를 위한 미술 교과서 내용 개선 제안 - ‘동시대 미술’, ‘지역사회 연
시대 미술’(contemporary art), ‘지역사회 연계 미술(공공미술)’(community- 계 미술(공공미술)’, ‘미술 감상·미술관교육’의 3가지 핵심 주제를 중심으로 -” (이주연, 류
linked art)(public art), ‘미술 감상·미술관교육’(art appreciation·museum art 지영, 고황경, 2020. 조형교육 제73집)
education)의 3가지를 선정하였다. 또한 이 3가지 핵심 주제별로 학교미술교 3) “학교미술교육 강화를 위한 미술교육의 내용 및 방향 - ‘동시대 미술’, ‘지역사회 연계
미술(공공미술)’, ‘미술 감상·미술관교육’에 대한 전문가 자문 내용을 중심으로 -” (류지영,
육에서 교과 내용 구성 시 필수적으로 포함되고 균형적으로 접근해야 하는 내
이주연, 고황경, 2020. 미술교육연구논총 제60집)
용 요소로서 분석기준을 ‘동시대 미술’은 ‘이슈’, ‘매체’, ‘조형 요소와 원리’, ‘감
상’으로, ‘지역사회 연계 미술(공공미술)’은 ‘장소 정체성’, ‘이슈’, ‘참여’, ‘공동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