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5 - 전시가이드 2020년 05월호 이북
P. 35

김용권 컬럼


                                                                               (4)  순수  작가들의  민화  응용과  차용  3기
                                                                               (1991〜2000)
                                                                               1990년대 민화는 순수 작가들에게 독자적
                                                                               회화 세계를 구축해 나가는 데 영감이자 동
                                                                               력이었다. 그들은 민화를 차용해 삶과 죽음,
                                                                               꿈과 욕망, 치유를 위한 메시지를 담았다. 이
                                                                               렇게 1980년대에 이어 1990년대도 순수 작
                                                                               가들은 더욱 더 전통장르와 맥을 같이 하였
                                                                               다. 대표적인 작가로는 황창배, 이만익, 이왈
                                                                               종, 백남준, 김용철, 김종학, 김정, 전혁림, 최
                                                                               영림, 이종상, 이화자 등으로, 이들은 전통적
                                                                               인  제재를  차용하면서도  그것을  자기만의
                                                                               조형언어로 표현해 좋은 평가를 얻어 냈다.
                                                                               황창배(1947〜2001)는  한국  전통  민화의
                                                                               세계를 빌려오고 응용하는 작업을 하였다.
                                                                               그는 민화의 형식을 그대로 받아들이기 보
                                                                               다는 민화가 지향한 순수한 소망을 새롭게
                                                                               상기시켜 주었다. 그는 한국화의 수묵 기법
                                                                               과 민화의 채색 기법을 뒤섞어 놓고 무의식
                                                                               적인 순수한 조형언어로 표현했다. 즉 그는
                                                                               무의식적으로  화면을  구성하고  그  화면에
                                                                               어울리게 인간의 모습이나 나무, 꽃, 새 등
                                                                               의 구체적인 형상을 그려 넣는 방식을 선택
                                                                               했다. 이와 같은 황창배의 작품 제작 방식에
                                                                               는 백생광이 큰 영향을 끼쳤다. 즉 황창배는
                                                                               박생광처럼 민화, 불화, 무화 등의 도상과 화
                                                                               면 구성 및 강열한 채색의 주술성을 차용하
                                                                               여 현실에 맞는 건강한 생명력을 불어 넣었
                                                                               다. 이렇게 1970년대에 김기창, 장욱진이 그
                                                                               리고 1980년대 박생광 등은 민화를 끌어들
                                                                               여 독자적인 세계를 구현한 것처럼, 1990년
                                                                               대 황창배는 민화 양식 참다운 민족적 양식
                                                                               으로  보고  적극적으로  차용하여  독자적인
                                                                               세계를 구축했다.
                                                                               이만익은 해학과 정서가 담긴 옛날의 민담,
                                                                               설화, 탈춤, 판소리 등을 강한 선과 화려한 색
                                                                               채로 시각화하여 누구나 편안하게 즐길 수
                                                                               있게 하였다. 그는 고구려 건국신화의 주몽,
                                                                               심청의 효심, 흥부일가 등의 친근한 인물들
                                                                               을 민화적으로 그려 냈는데, 화면 속에는 언
                                                                               제나 강한 선이나 파스텔 톤적인 색으로 형
                                                                               태가 구획되어져 있으면서도 대부분 자연스
                                                                               럽게 움직이거나 말하고 웃고 있으며 이야
            화조도, 27×19cm, 조선민화박물관 소장                        기 거리가 많게 느껴지는 것이 특징이다.
                                                            이왈종(1945〜) 화의 새로운 변용을 보여준 작업을 하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
                                                            다. 그의 작품에는 인간과 동물 그리고 식물 등이 하나가 되는, 저마다의 독자
            민화를 차용, 응용한                                     적인 절대가치를 인정하는 평등한 관계가 해학적으로 펼쳐져 있다. 그의 작
                                                            품에는 대부분 장수를 상징하는 나비가 날고 부부 금실을 뜻하는 새들이 쌍
                                                            을 이뤄 지저귀고 있다. 이와 같은 그의 작품 대부분은 민화기법에서와 같이
            순수 작가들.Ⅶ                                        원근법이나 명암법이 무시되어 있으며 시점이나 공간설정 역시 자유롭고 해
                                                            학적이다. 그의 작품을 깊게 접근해 보면, 문인화에서 엿보이는 탈속과 은거
                                                            의 취향이 가득 스며들어 있고, 그 위에 민화가 표상하는 신화적이고 토착적
            글 : 김용권(겸재정선미술관 관장)                             인 세계관과 주술적 생사관, 그 도상들 또한 가득 차용되어 있다. 불교 미술
                                                            의 장엄미도 몇 겹으로 얹혀 있는가 하면, 그 위로 우리 전통 미술의 여러 흔
                                                            적이 표현되어 있다.


                                                                                                       33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