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87 - 전시가이드 2025년 10월
P. 87
전시일정 및 자료는 crart1004@hanmail.net 문의 010-6313-2747 (이문자 편집장)
헤르츠앤도전 | 9. 5 – 26. 5. 31 고주리 작품전 | 10. 21 – 10. 26
서울시립북서울관 | T.02-2124-5201 우혜원 초대전 | 10. 22 – 10. 27 속초문화예술회관 | T.033-639-2080
두고갤러리 | T.010-3277-6069
우혜원 작가의 작품은 풍성하게 열매 맺은 나무와 이를 수확하는 사람의
모습을 통해 자연과 인간의 소박한 일상을 따뜻하게 담아내며, 평온한 농
촌의 풍경을 시각적으로 강조한다.
인간 중심의 청각 경험을 넘어 지구가 품 산과 들, 바다, 하늘 등 존재감과 생명력
은 다양한 소리를 섬세하게 관찰할 것을 을 뿜으며 우리에게 많은 감흥을 주고,
제안한다. 더 많은 것을 보려 하기보다 예술로 승화시키고픈 의욕을 느끼게 한
눈을 감고 귀 기울여, 지금 여기의 울림 다. 자연환경을 마음속에 품으며, 그 영
을 듣도록 하는 것이다. 감을 하나하나 화면에 표현했다.
색색깔깔 뮤지엄 | 9. 3 – 12. 14 구모경, 허정원전 | 9. 11 – 10. 23
상상톡톡미술관 | T.02-2289-5412 수애뇨339 | T.02-379-2970
박미숙 동행전 | 10. 1 – 10. 20
인사아트센터부산갤러리 | T.02-720-3848
"상상력과 창의성의 발현”을 주제로, 시 나무를 소재로 작업하는 작가의 전시로
그니처인 선(Line), 동그라미(Dot), 낙서 나는 작품을 통해 초록 바람소리 들려오는 풍경을 그렸다. 산과 고즈넉한 구모경 작가는 먹을 사용한 나무의 추상
(Scribble), 얼룩(Stain) 등 독특한 시각 사찰의 모습을 담아보고, 복사꽃 나무 아래 뛰놀던 어린 시절을 떠올려 보 적 선과, 허정원 작가의 작은 나무 조각
적 언어로 구성된 회화, 오브제, 영상작 고, 햇살 따뜻한 한옥 안마당도 거닐어 보았다. 은 나이테처럼 켜켜이 쌓인 수많은 이야
품 등 130점의 작품이 전시된다. 기를 상상해 보게 한다.
크리스찬 히다카전 | 6. 5 – 26. 5. 10 원 테이블전 | 8. 6 – 11. 28
서울시립북서울관 | T.02-2124-8945 아르코미술관 | T.02-760-4602
작가는 자신의 문화 정체성을 바탕으로 ‘프린지, WWW’는 아르코예술기록원이
동서양의 회화사와 화법을 혼합해 ‘유라 수집하고 체계적으로 구축한 ‘서울프린
시아 모드(Eurasian mode)’를 제안, 역 지페스티벌 컬렉션’을 소개하기 위해 기
사 속 여러 시간과 공간을 한 화면에 불 획된 코너로, 기록을 통해 축제의 역사와
러 모아 이야기를 만들어 낸다. 예술정신을 전달하고자 한다.
박스 프리뷰 5만원 매월 22일까지 접수 마감
영원히 교차하는 춤전 | 8. 13 – 26. 12. 31 남중연 개인전 | 11. 3 – 11. 7 곽지은 개인전 | 9. 30 – 10. 18 김나야 초대전 | 10. 17 – 10. 31
서울시립서소문본관 | T.02-2124-8926 서초문화예술회관 | T.010-5228-5884 성원아트갤러리 | T. 0507-1334-4998 아트강갤러리 | T.02-543-5463
감각·참여·공공성이 맞물리는 이번 하루가 25시간 이었으면 하는 내 젊은날 곽지은은 거제도 출신 작가로, 고향 섬의 작가의 섬세한 감성과 필력을 통한 서사
SeMA 공용공간 프로젝트는 일상 속 잉 이 있었다. 이루어질 수 없는 소망이었 풍경과 자연의 정서를 화폭에 담아왔다. 적 풍경을 담아낸 이번 전시는 작가만의
여 공간에 대한 인식 전환과 예술 체험 다. 오늘은 다가오는 날중 나의 가장 젊 단순한 풍경의 재현을 넘어, 섬의 이미지 회화적 감각을 재조명하는 자리이다. 디
의 새로운 가능성을 실험하며 공공미술 은날~~ 나의 식지않는 열정으로 내 가진 를 색과 면의 단순화된 구조로 재구성하 지털로 재현한 인물 드로잉부터 풍경시
의 또 다른 방안을 제안한다. 모든것 쏟아낸다. 며 추상적 조형 언어로 보여준다. 리즈까지 다양한 회화작품이 전시된다.
8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