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67 - 전시가이드 2021년 11월호 이북
P. 67
전시일정 및 자료는 crart1004@hanmail.net 문의 010-6313-2747 (이문자 편집장)
먼길 이야기전 | 10. 5 – 22. 6. 19 전성규 개인전 | 11. 9 – 11. 21
서울시립북서울관 | T.02-2124-8926 심성규 개인전 | 11. 24 – 11. 30 세종갤러리 | T.02-3705-9021
갤러리올 | T.02-732-9820
심향(心 香)-상징적 이미지를 형상화한 작품 속에는 아름다운 마음의 향기
가 있다. 많은 사람들이 소원성취를 위해 마음의 안식과 소망하는 것들을
이루기 위해 삶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는 내면의 깨달음을 표현하였
다.
<먼길 이야기>는 현대미술가인 이수경 내재적 질서를 이루는 비어있는 옷은 육
의 동화로 주인공인 ‘먼길’이라는 소녀와 체를 받아들이고 감싸주는(hidden) 빈
함께 긴 여행을 떠나는 이야기이다. 회 공간이다. 이 공간은 비어있음으로써
화, 조각, 설치, 영상, 드로잉, AR 등 작품 거기에 감싸이는 육체를 은닉하여(hid-
총 67점을 선보인다. den) 보이지 않는 에테르로 만든다.
2021 타이틀 매치전 | 10. 13 – 11. 21 이명호 개인전 | 9. 10 – 11. 17
서울시립북서울관 | T.02-2124-5201 소울아트스페이스 | T.051-731-5878
이미리 개인전 | 11. 3 – 11. 8
갤러리 라메르 1층 제2전시실 | T.02-730-5454
전통과 근대에 대한 예술과 문화 사이의 도시가 감춘 풍경 속에 주목하지 않는 나
괴리와 문제의식으로 임민욱과 음악가 이미리 작가는 머릿속에서 일렁이는 현상을 화폭 위에 그려내었다. 점에서 무 한그루, 왜소한 잡초 한 가닥, 작은 돌,
장영규가 만나, 사라지는 매체와 목소리, 선으로, 선에서 면으로 얽힌 형상은 다시 면에서 선으로 이어져 점으로 풀 누군가 버린 종이컵에 관심을 가지고 자
역사와 환경으로부터 파생된 시간의 조 려나가며 비움과 채움을 표현하고 있다. 신이 호명한 피사체에 집중하는 것이 대
각들을 비선형적으로 재구성한다. 상을 풀어내는 방식이다.
경계에서의 신호전 | 9. 28 – 11. 7 자연 속으로전 | 7. 20 – 12. 11
서울시립서서울미술관 | T.02-2124-8926 수원시립미술관 | T.031-228-4107
서서울미술관은 개관에 앞서 해마다 사 포스트 코로나로 자연과 환경의 중요성
전프로그램을 개최, 개관을 준비하는 연 이 대두됨에 따라 ‘자연 속 이야기’와 ‘자
구 사업의 출발점을 마련하는 한편, 시민 연 속 움직임’으로 참여자의 지속적인 행
들과 건립 과정을 공유하며 미술관의 공 동이 작품의 일부가 되는 참여예술 프로
공성을 탐색하고자 한다. 젝트로 진행된다.
박스 프리뷰 5만원 매월 22일까지 접수 마감
모든 것은 그 자리에전 | 11. 4 – 11. 14 성남의 얼굴전 | 9. 10 – 11. 14 곽지은 개인전 | 10. 19 – 11. 9 바람보다 먼저전 | 8. 18 – 11. 7
SeMA 창고 | T.02-2124-8945 성남큐브미술관 | T.031-783-8000 성원아트갤러리 | T.010-5503-4998 수원시립아이파크미술관 | T.031-228-3665
코로나 19로 인해 관계 연결이 더욱 중요 올해 우리가 사는 집은 코로나라는 외부 작가가 그려내는 색감(色感)은 서로 대 민주화 운동의 상징적인 존재였던 시
해진 지금, 공존에 대해 이야기하는 전시 의 위기 상황으로부터 보호와 안정을 주 비(對比)를 이루며 자연의 간결함을 강 인 김수영(金洙暎, 1921-1968)의 「풀」
로 공존을 ‘각자의 자리를 이해하며 지키 는 공간으로 그 가치를 더하고 있다. ‘생 렬해지는 색들의 조합(組合)은 하나의 (1968)에서 차용하였다. 유연하고 강인
는 동시에 서로가 그럴 수 있도록 배려해 존을 위한 공간’을 넘어 안정과 휴식을 외침으로 잔잔한 파도가 노래하고, 멀리 한 ‘풀’은 ‘바람’같은 고난에도 뿌리 뽑히
야 하는 것’으로 여긴다. 주는 안식처라 할 수 있다. 지나가는 배들도 함께 춤춘다. 지 않는 끈질긴 생명력을 자랑한다.
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