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3 - 종사총람 수정증보판
P. 133

려를  거쳐  오는  동안  대대로  드러난  분이  많아서  갑족(甲族)이라고  일컬어졌

                               으나  근래에  떨치지  못하여  양명입신(揚名立身)해서  조상을  영광스럽게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선계(先系)라도  잘  정리하여  후손에게  물려주지  않
                               을  수  없습니다.”라고  하였다.  나는  서문을  쓸  만  한  사람이  아니라고  사양
                               (辭讓)하면서  말하기를「나의  말은  기록할  수  있고  그대의  정성은  가상하나
                               그대는  마땅히  해야  할  일만  하면  되지  가세가  떨치고  떨치지  못한  것은  논
                               할  바가  아니다.  대저  침체되고  현달  하는  것은  군자(君子)들의  명운(命運)이
                               라고 하여 마음을 쓰지 않았다. 어두워졌다가 다시 드러나고 굽혔다가 펴지는
                               것  역시  이치이다.  삼척김씨는  오래  살아온  바를  답습해  왔으니  크게  빛나고
                               떨칠  것은  손가락을  굽혀  세지  않아도  불을  보는  것처럼  확실하다.  황하(黃
                               河)처럼  큰물도  중국을  거쳐  복류(伏流)하고  장차  들보로  쓸  큰  나무도  반드
                               시  그  뿌리가  고생을  하게  마련이다.  그러나  후일  나라를  다스릴  큰  인재가

                               김씨  문중에서  나오지  않을  줄  어찌  알겠는가?」“우선  이처럼  써놓고  기다
                               리겠다” 라고 하였다. (참조 : 본기(本記)3항 1목 보서 참고)

                               주(註) : 이 말씀의 참 뜻이 무엇인지? 김낙호님 김원직님 선인(先人)께서 부탁한 말씀이 자못 궁금하다. 알고 싶다.

                          ⑤  우리  삼척김씨세보  각  보서  서문을  보면  휘(諱)  위옹(渭翁)公에  대한  위상  기
                              록이 보서(譜序)마다 다르게 표기(表記)하고 있다.


                             ○  中派於  悉直君  諱渭翁하고  姓貫之貫三陟者는  以  悉直君之封於  三陟而
                                  중 파 어    실 직 군   휘 위 옹       성 관 지 관 삼 척 자      이   실 직 군 지 봉 어    삼 척 이
                                  因其封爲貫이 亦古法也라.
                                  인 기 봉 위 관      역 고 법 야
                             ○ 金氏는 卽前代王者之後로 分封三陟以來---
                                  김 씨     즉 전 대 왕 자 지 후      분 봉 삼 척 이 래
                             ○ 高麗悉直王은 王室也니---悉直은 卽今三陟而王之子孫이仍居焉--
                                  고 려 실 직 왕      왕 실 야        실 직     즉 금 삼 척 이 왕 지 자 손      잉 거 언
                             ○ 三陟之爲金은 以大輔公으로 爲鼻祖하여 逮于悉直郡王이 以陟爲貫--하다.
                                  삼 척 지 위 김     이 대 보 공       위 비 조       체 우 실 직 군 왕     이 척 위 관

                                            주(註) 위상이 일관성이 없다. 이는 서문(序文)을 쓰시는 분 의사에 따라 쓰여 졌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위옹의 봉군(封君)군호가 실직군(悉直君)이였다. 그리고 실직(悉直)은 곧 삼척(三陟)이다.
                                                        그러므로 실직군(悉直君)은 삼척군(三陟君)이다. 고로 실직군왕은 삼척김씨라고
                                                                             합리화(合理化)하지 않았나 추리(推理)해 본다.

                          ⑥ 추(錘)공(公)의  군봉(君封)이  삼척군(三陟君)이라는  기록은  을사파보(1905년)가
                              삼척김씨  족보  가운데  유일(唯一)한  기록이다.  그리고  동  파보  위옹  방주에

                              「실직군왕이 중조(中祖)로 천위(遷位)한데 대한 미안(未安)함을 표하다.」

                                                                               (참조 : 본기(本記)3항 2목 을사파보 참고)

                          ⑦  신라삼성연원보  40쪽,  계림김씨연원보  권지  47쪽  주(宙)면(面)  상단  추(錘)지서(只
                              書) 48쪽 상단에 봉(封) 언척군(彦陟君) 사본척김시조(賜本陟金始祖)라 기록하다.
                              위옹(渭翁)은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 실직군(悉直君)하다.

                                                                    주(註) : 언척군(彦陟君)은 삼척군(三陟君)을 오기(誤記)하다.



                                                                                  제2편  삼척군기(三陟君記)  133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