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13 - 한국 교회가 잘못 알고 있는_ 101가지 성경 이야기 1 & 2
P. 313

성경에서  포도주는  약속과  언약의  종말론적인  음료이기  때문에  선지자들은  많은
               곳에서  “도래할  새  언약의  시대”를  “포도주가  흘러넘치는  시대”로  묘사합니다(사



               25:6,  27:2,  55:1;  렘 31:12;  호 2:22;  욜 2:19,  24,  3:18).  대표적인  세  구절을  쓰자면
               이렇습니다.

                          그  날에  산들이  단  포도주를  떨어뜨릴  것이며  작은  산들이  젖을  흘릴

                       것이며  유다  모든  시내가  물을  흘릴  것이며  여호와의  성전에서  샘이  흘러
                       나와서  싯딤  골짜기에  대리라(욜  3:18).


                          만군의  여호와께서  이  산에서  만민을  위하여  기름진  것과  오래

                       저장하였던  포도주로  연회를  베푸시리니  곧  골수가  가득한  기름진  것과  오래
                       저장하였던  맑은  포도주로  하실  것이며(사  25:6).


                          그  날에  너희는  아름다운  포도원을  두고  노래를  부를지어다(사  27:2).


                   성경에서  포도주가  이러한  종말론적  성격,  안식의  성취와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
               예수님이  오셔서  새  시대를  여셨을  때,  첫  번째로  행하신  표적은  가나의  혼인

               잔치에서  “결례의  물”을  “포도주”로  바꾸신  것입니다.  예수님은  이  사건을  통해서

               자신이  옛  언약을  새  언약의  종말론적  사건으로  성취하실  분이심을  여러  사람에게
               보여  주셨습니다.

                   뿐만  아니라,  신약  성경에  이스라엘이  주로  무엇으로  비유되었습니까?  그들은

               “하나님이  심으신  포도원”으로  비유되었습니다.  이  포도원은  과실을  잘  맺으면
               과원지기에게            내쳐지지        않지만,  과실을            맺지      못하면       찍어내       버림을       당할
               것입니다.(눅  13:7,  누가복음  13장  6절  이하는  재미있는  본문입니다.  과원지기는  ‘포도원’에










               ‘무화과나무      ’를 심은 후 예수님이 예루살렘 입성시 무화과나무에게 하신 말씀과 똑같은
               말씀을 하십니다.  무화과나무에 관하여는 본서의 74번과 75번 글을 참조하십시오.)







                   예수님이  자신을  포도나무에  비유하신  것도  이와  같은  맥락에서  입니다.  이
               본문에서도  역시,  마지막  날  과실을  맺느냐,  맺지  못하느냐에  관한  언급이
               등장합니다.
                          나는  참포도나무요  내  아버지는  농부라  무릇  내게  있어  열매를  맺지
                       아니하는  가지는  아버지께서  그것을  제해  버리시고  무릇  열매를  맺는  가지는
                       더  열매를  맺게  하려  하여  그것을  깨끗하게  하시느니라(요  15:1~2).
   308   309   310   311   312   313   314   315   316   317   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