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34 - 제6권
P. 234
은 아직 밝혀진 바 없다. 현재 오산의 도당굿을 유추할 수 있는 이종만의 12제차와 이용우가 생전에
연행했던 인천 동막의 도당굿을 비교함으로써, 오산12제차와 경기도당굿의 연관성을 간접적으로나마
나타내고자 한다. 또한, 1990년 경기도당굿이 국가무형문화재가 될 당시 기예능보유자로 지정된 이용
우의 제자 오수복이 연행한 수원 벌말도당굿 절차를 <표 1>에 함께 실어 참고 자료로 삼고자 한다.
<표 1> 이종만의 오산12제차와 이용우의 동막도당굿, 오수복의 벌말도당굿 비교
오산12제차
구분 동막도당굿(1984) 수원 벌말도당굿(2005)
(1930년대)
1 부정 당주굿(서간난·조한춘) 부정굿
2 시루말 거리부정(서간난·조한춘) 도당바래기
3 제석 부정굿(서간난) 제석굿
4 손굿 도당모시기(서간난) 신장굿
5 군웅 돌돌이(조한춘) 대감놀이
6 시루말(이용우·서간난) 군웅굿
조상안당굿
7 제석굿(이용우·서간난) 대동소지 올리기
8 성주굿 신장굿+손굿+공굿(남무) 서낭굿
9 서낭굿 본양굿(조한춘) 대잡이
10 계면굿 터벌림(이용우·조한춘·이영수 등) 뒷전
11 터주굿 군웅굿(서간난·조한춘·이용우)
12 마당굿 도당할머니 모시기 (서간난·조한춘)
13 중굿(조한춘)
14 뒷전(이용우·조한춘)
오수복이 연행한 벌말도당굿은 제차나 굿 내용 면에서 다른 도당굿 절차와 별반 다르지 않으나, 다
만 2005년 행해진 벌말도당굿에서 시루말이나 장문잡기, 손굿 등은 연행할 수 있는 사람이 없고 비
용도 제한이 있기 때문에 하지 않았다고 한다. 돌돌이가 형식상 간단하게 행해지고, 조상굿은 이름만
지어지고, 나머지 거리들도 제대로 연행되지 못했다고 한다. <표 1> 이종만의 오산12제차 시루말과
이용우의 경기도당굿 시루말은 내용이 같다고 전해진다. 이용우 외의 다른 화랭이들은 이종만의 시
루말과 내용이 다르거나 많은 부분이 생략됐다고 한다. 이용우 사후 시루말 등 경기도당굿의 몇몇 거
리는 적어도 이용우가 하던 도당굿의 원형을 잃어버린 채 다른 형태 또는 생략된 채 연행되고 있다고
오산시사 봐야 할 것 같다. 이용우가 경기도당굿에서 구술한 시루말과 이종만의 오산12제차 시루말의 내용이
동일한 것으로 보고, 오산12제차 시루말 내용을 정리하여 싣는다.
제
6
권
2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