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0 - 제6권
P. 90
삼사 나간다,
은단지 팥단지,
바람에 쥐새끼,
영낭 거지,
팔대 장군,
고드래
뿅”
이라고 하였다.
14) 세교동
세교동에서는 홍촌말인 큰말과 원촌말인 건너말, 최촌말인 오리골에서 각각 민요와 놀이가 조사되
었다.
(큰말)
큰말의 <줄다리기>는 큰말 안에서 아랫뜸 웃뜸의 남자와 여자가 편을 나누어서 줄다리기를 하였
다. 홍촌말 안에서도 두 개의 마을이 존재하였는데 두 마을의 남자들이 한 팀이 되고 두 마을의 여자
들이 한 팀이 되어 <줄다리기>를 펼쳤다는 점이 흥미롭다. 그런데 일반적인 <줄다리기>의 승패방식
과는 달리 대개 남자편이 이기곤 하였다는 점은 더욱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한편 서쪽으로 접하고
있는 지곶동과 서랑동의 <줄다리기>가 유명하였다는 제보도 확보할 수 있었는데 실제로 필자가 답
사를 통하여 조사한 결과 이 두 마을의 <줄다리기>가 더욱 큰 규모로 행하여졌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 근거로 가장동과 서동쪽에서도 구경을 오거나 함께 참여하였다는 증언을 확보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그리고 큰말에서는 마을의 뒷산에 올라 <달맞이>도 하였으며 <쥐불놀이> 또한 행하여졌다. 단오에
는 역시 뒷산의 소나무에 그네를 매고 <그네뛰기>를 하였던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큰말에는 두레
가 있었으며 모심고, 논매고 할 때까지 장대에다 ‘농자천하지대본(農者天下之大本’기를 논둑에 꽂아
놓고 일들을 하시고 꽹과리를 두드리고 그랬다고 한다.
<거북놀이>는 8월 추석에 수수 잎을 벗겨서 새끼를 꽈서 거북을 엮었다. 집집마다 돌아다니면서
오산시사
덕담도 하고 술과 음식을 얻어 먹던 놀이었다.
제
6 (건너말)
권
원촌말인 건너말에서는 정월 대보름날 두레패가 집집마다 돌면서 고사반을 하였다. 이것이 건너말
의 <두레놀이>였으며 한국전쟁이 발발하면서 악기들이 훼손되었으며 관리도 잘 되지 않고 또 도난도
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