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77 - 제2권
P. 477

고, 활을 잘 쏘는 사람이 몇 사람이냐고 묻자 본읍 장교와 아울러 활을 잡은 자는 30여 인이라                                    477
                        하였다.                                                                                      역사

                         정조는 부로들을 접견한 후 “지난 경진년 온행 시에 세자께서 산성 숙소에 머물러 진남루에                                         /  유적
                        올라 1순의 활을 쏘아 연이어 4시를 얻었으며, 부로를 불러 질고를 하문하셨다. 지금 나는 31

                        년 후에 이 성에 임어하여 이 운주당에 앉아 민인을 불러 보고 자세하게 옛일을 물으니 대답                                        · 유물
                        이 창상(創傷)을 깨닫지 못함은 나의 추술지도(追述之道)에 있다. 어찌 뜻을 보이는 거조가 없

                        겠는가? 입정(入庭)한 부로들은 모두 경진년 온행 시에 두터운 은전을 입은 자이니 승속(僧俗)
                        과 나이를 불문하고 특별히 한 자급을 더해주고, 성안의 민호마다 미포를 지급하여 오늘의 우

                        감하는 뜻을 보이라! 독산산성 중군 유이주는 상당직으로 승서하고, 영접군교는 본도에 영을
                        내려 시상하라. 조궁지류는 내일 뒤쫓아 대령할 것이로되 득중(得中)하면 직부(直赴)하여 함께

                        창방(唱榜)할 것이니 이로써 분부하라.”고 하교하였다. 또 하교하기를 “내일 장옥(場屋 : 과장
                        (科場)에서 햇볕이나 비를 피하여 들어앉아서 시험을 칠 수 있게 만든 곳)에서 산성 사람들은

                        마땅히 소포(小布)를 별설하라. 이것은 경진년의 옛일을 추념하는 뜻이다.”고 하였다.
                         그리고 정조는 진남루에 올라 지방관 조심태에게 하교하여 말하기를 “이 (진남)루의 기문은

                        마땅히 본부에서 제하하는데 편한대로 고쳐 짓는 것이 마땅하다.”고 하였다. 그 후 정조는 여
                        를 타고 서문으로 나가 여에서 내려 말을 타고 수원 득중정에 이르렀다.                     35)



                    위의 행적을 통해 1790년 2월 정조의 독성산성 친심은 풍수적 문제뿐만 아니라 사도세자가 1760년

                  에 행차하여 펼친 사적(事蹟)을 직접 확인하기 위한 목적에서 이루어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정조는
                  사도세자가 머물렀던 독성산성 곁에 현륭원을 천봉하였다는 점에서 감회가 컸을 것이다. 그리하여

                  독성산성은 풍수적 문제에 관계없이 일단 산성을 그대로 남겨두되 대대적인 수축(修築)을 고려하지
                  는 않았던 듯하다. 2년이 경과하도록 아무런 조치가 없었기 때문이다.





                  3. 독성산성의 수축




                  1) 임진왜란 이후의 수축

                    독성산성은 임진왜란 중에 경기관찰사 유근(柳根, 1549~1627년)에 의해 4일간의 공역으로 한 차
                                    36)
                  례 수축된 적이 있다.  그러나 공역이 너무 단시간에 급하게 이루어졌기 때문에 곧 허물어졌던 것으
                  로 보인다. 전쟁이 끝난 후인 1602년(선조 35년) 수원부사를 폐하고 방어사(防禦使)를 설치하면서 변
                  응성(邊應星)을 방어사로 임명하여 석성(石城)으로 수축하도록 하였기 때문이다.                         37)




                  35) 『日省錄』 正祖 14年 2月 10日 辛酉. “駕詣禿山山城還次水原府”
                  36) 『宣祖實錄』 卷55, 27年 9月 19日 甲午.
                  37) 『華城誌』 卷2. 「山城」 禿城.
   472   473   474   475   476   477   478   479   480   481   4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