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0 - 전시가이드 2025년 11월 E-book
P. 40

이주연 컬럼


         김미래 작가


        일상의 틈으로 세상을 마주하다


        글 : 이주연 (경인교육대학교 교수)









































           서늘한 어둠 아래 먼지가 별이 되고, 오래된 바나나 껍질처럼 너덜거리는, 춤추는 지옥_종이에 흑연_120x168cm_2020~2025



        부산시립미술관의  미술  생태계  균형화  프로젝트  <젊은  시각  새로운  시선   김미래 작가는 일상의 틈새를 자신만의 미술로 전환하여 매 순간을 미술 실
        2025>(2025.4.10.~7.6. 성곡미술관)에서 단연 눈길을 사로잡은 작가는 김미  천의 장으로 이끌며 익숙한 생활의 결을 새롭게 구성해 나간다. 작가는 출산
        래였다. 홈페이지에 제시된 전시 설명을 보면 “언어로 표현하기 어려운 감정       과 더불어 단계적으로 변화하는 공간의 조건을 수용하면서도 이를 단순한 생
        을 드로잉으로 시각화하며, 감정의 가변성과 서사적 특성에 주목하는 작가”라       활의 배경에 머무르게 하지 않고 창작의 동력으로 변환함으로써 자신만의 미
        고 김미래 작가를 소개하고 있다. 작가는 순간적인 감정보다는 장시간 축적된       술 세계를 확장해 나간다. 흥미로운 점은 이러한 작업의 출발점이 철저히 일
        감정의 층위를 섬세하게 채집하여 이를 연출된 상황과 이야기 속에 녹여내며,       상적임에도 불구하고 완성된 작품은 오히려 일상의 안온함과는 거리를 둔, 지
        평면과 목재 오브제와의 결합을 통한 형태적 변형을 시도함으로써 여성이자         극히 냉소적이고 불안하며 차가운 정서를 드러낸다는 점이다. 이러한 정서적
        엄마, 그리고 작가로서 삶의 감정을 다층적으로 풀어낸다는 평을 듣는다. 전       전환은 작가의 작업이 지닌 모호하고 복수적인 양가성과 연계되는데, 작가의
        시를 둘러보고 나가려던 순간 성곡미술관 관계자가 의미심장하게 웃으며 다         작품에 대한 비평들이 바로 이 지점에 집중한다. 신지현 비평가는 작가의 작
        가와 전시 공간을 세심하게 살펴보았는지를 물었다. 그리고 계단 난간에 숨        품에 대해 “분명하게 잡히지 않는 모호성 그 자체를 시각화하는 일”이라고 평
        어 있는 ≪쫄지마≫(종이에 흑연/13x9.5cm/2013)를 가리켰다. 그제야 이 전  하면서 “부재의 영역 안에 사적 감정으로 머무르겠지만 언제든 작업을 매개
        시만의 독특한 공간 구성 속에서 내가 놓친 작품이 적지 않음을 깨달았다. 통      로 공적 발화의 주체가 되는 존재 가능성을 품은 이야기”라고 말한다. 안진국
        상적으로 벽면에 정돈되어 걸리거나 특정 공간을 점유하는 방식과 달리, 김미       비평가는 “과거·현재·미래가 병존하는 비선형적 시간의 동시적 표출”이 작가
        래 작가의 소품들은 예기치 않은 위치의 틈새에 설치되어 있어 관람자에게 세       의 양가적 정서 구조를 해석하는 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고 말한다. 이러
        심하고도 적극적인 관찰을 요구한다.                             한 비평들은 작가의 작업이 일상의 경험을 기반으로 하면서도 그것을 창작의
                                                        과정에서 해체, 재구성하여 감정의 다층적 구조와 시간의 복수적 층위를 체계


        38
        38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