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4 - (사회돋보기)노규수 컬럼집-본문(최종)_Neat
P. 134

이미 잘 알려진 일이지만, 그 ‘엄청난 발전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해 헌팅턴

               등 하버드대학 연구자들이 찾아낸 열쇠는 바로 ‘문화(culture)’였다. 그들이 정의한

               문화는 “한 사회 안에서 우세하게 발현하는 가치, 태도, 신념, 지향점, 전제조건”
               등인데, 한국은 경제성장에 도움이 되는 ‘발전 지향적 문화’를, 가나는 ‘발전 저

               항적 문화’를 갖고 있었다는 것이 결정적 차이라고 헌팅턴은 말했다.

                 헌팅턴이 국제적으로 주목을 받는 학자로 인정을 받게 된 계기는 1996년에

               발표한 『문명의 충돌(The Clash of Civilizations)』 때문이었다. 그는 전 세계 국가 간 충
               돌이 이념이 아닌 문명과 종교 차이에서 비롯됐다는 주장을 펼쳤다. 헌팅턴은

               그 책 서문에서도 1960년대 한국과 가나의 경제적 수준이 큰 차이가 없었지만

               “30년이 지난 뒤 한국이 눈부신 경제성장을 이룬 반면 가나는 큰 변화가 없었

               다.”는 내용을 적었다. 한국인의 근면성, 검소함, 교육열 등 문화적인 요소가 국

               가 간 발전 차이를 유발한다는 주장이었다.
                 하지만 헌팅턴은 세계문명을 ▷서구(미국과 유럽) ▷라틴 ▷이슬람 ▷아프리

               카 ▷그리스정교(러시아) ▷힌두 ▷중화(유교) ▷일본 문명 등 8개 권역으로 분

               류했다. 일본을 별도의 문명으로 본 것은 일본의 민속신앙 신도(神道)를 일본의

               고유한 종교문화로 인정한 때문이라는 것이다.
                 헌팅턴 역시 한국은 중화(유교)문명이나 일본문명의 아류 정도로 본 듯하다.

               이사벨라 버드 비숍(Isabella Bird Bishop. 1831~1904)은 “한국은 중국의 패러디”라고 했

               으며, 라이샤워(Reischauer)도 한국의 전통문화를 중국 문화의 한 변이형으로 보았

               다고 한다.

                 그에 대해 안동대 임재해 교수(민속학)는 일본은 자신들의 민속신앙도 대단한
               것으로 인정하고 세계에 알리지만, 우리나라의 학자들은 스스로 자국의 정신수





            134 노규수의 사회 돋보기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