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8 - (사회돋보기)노규수 컬럼집-본문(최종)_Neat
P. 218

왔다. 휘영청 밝은 달이 중천에 떠오르면, 아낙네들은 뒷마당 장독대 위에 정한

               수 한 그릇 떠 놓고 먼 길 떠난 남편이나 자식들의 무사귀환과 무운장도를 기원

               했다.
                 그럴 때 하늘의 달과 정한수 속의 달, 즉 천지간의 두 달이 그 여인과 함께하

               게 된다. 따라서 그 기원의 대상은 사람마다 차이가 있었을 것이다. 시집간 딸을

               위한 기도도 있었을 것이고, 질병에 시달리는 가족의 쾌유도 빌었을 것이며, 술

               주정을 일삼는 친정 오라버니가 제발 정신 차리고 들에 나가 농사일에 힘써달라
               는 간절한 바람도 있었을 것이다.

                 그 같은 세상의 기원들을 공동체의 에너지로 승화시킨 세계 최고(最古)이자 최

               대(最大)의 집단의식이 있다면 아마도 우리 전통의 강강술래가 아닐까 한다. 마치

               영화의 한 장면처럼 가을 한가위 보름달 아래에서 빙글빙글 돌아가는 강강술래

               는 우리 민족이 추구한 하늘과 땅과 사람, 즉 천지인(天地人)이 일체를 이루는 벅
               찬 하모니(harmony)였다.

                 강강술래(Ganggangsullae)의 집단 에너지와 군무(群舞)의 아름다움은 결코 우리만

               이 인정한 것이 아니다. 강강술래는 지난 2009년 9월에 유네스코 인류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으로 선정됨으로써 인류공영의 문화유산으로 발돋움하기에 이르
               렀다.

                 하늘과 땅과 사람이 합일(合一)하는 강강술래를 위해 음력 8월 15일 밤에 예쁘

               게 한복을 차려입은 부녀자들은 마을의 가장 큰 공터에 모여 손에 손을 잡고 달

               과 같은 둥근 원을 만들었다. 그리고 소리 가사에 일가견이 있는 리더의 선창을

               받아 ‘강강술래’라는 후렴으로 응대하는 합창을 부르며 빙글빙글 돌면서 뛰었
               다. 그것은 놀이이자 하늘을 향한 기도였다.





            218 노규수의 사회 돋보기
   213   214   215   216   217   218   219   220   221   222   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