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52 - (사회돋보기)노규수 컬럼집-본문(최종)_Neat
P. 252

가제 등을 최소한으로 사용하여 동식물성 유기물을 토양에 환원시킴으로써 지

               력을 유지증진 또는 회복시키는 농법을 더 자연 친화적으로 발전시킨 개념이다.

                 하지만 나는 야생농법을 주장하고 있다. 특히 인간의 건강을 목적으로 재배하
               는 약초일수록 그러해야 한다고 믿는다. 그것은 ‘자연 그대로’가 아닌, ‘토지 그

               대로’의 방식이다. 살아 있는 흙의 위대한 능력을 최대한 발휘시킴으로써 생산

               성을 결코 무시하지 않겠다는 뜻이다. 자연농법이 아무리 뛰어나다 한들 사람

               손이 가지 않은 관계로 수확량이 크게 저하되고, 그 가격이 금값이라면, 그것은
               약초에 부여된 인간의 건강증진이라는 보편적 목적에 부합되지 않는다.

                 특히 산업적 관점에서 보면 아무리 약효가 좋다는 산삼도 결국 무용지물일 수

               밖에 없다. 수요자에게 공급할 수 없고, 공급하더라도 돈 많은 소수의 사람에게

               만 한정되는 것이라면 그것은 인(人), 즉 홍익인간의 개념과는 동떨어진 얘기가

               된다.

                 그래서 수안보 자미원은 산삼(山蔘)을 기르는 자연농법이 아니다. 대신 산양삼(山
               養蔘)을 기르는 방식과 같은 야생농법이다. 귀향농업인이기도 한 나는 이 방식을

               언젠가는 체계적으로 후배 농업인들에게 전수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야생농법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은 인(人)을 위한 ‘천지인의 조화’이고, 우주와
               자연이 순환하는 ‘영원회귀’의 세계관이다. 니체가 지적한 영원회귀의 기본정

               신, 즉 “지금 인생을 다시 한 번 완전히 똑같이 살아도 좋다는 마음으로 살라”는

               인생관을 나는 적극 지지하기 때문이다. 야생농법은 결국 ‘후회 없는 삶’을 위한

               홍익인간들의 생활철학이다.

                                                                 (2013. 11. 05)







            252 노규수의 사회 돋보기
   247   248   249   250   251   252   253   254   255   256   2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