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 - 칭의와 성화-김세윤
P. 13

이러한 맥락에서 바울은 이런 유대주의자들에게 대항하여 자신의 복음을 칭의론적으로 전
            개하면서, “이방인들도 할례를 받지 않고 안식일이나 정결의 규례들을 지키지 않아도, 다
            시 말해 모세의 언약 체계에 들어가 유대인이 될 필요 없이, 오로지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만 의인으로 칭함 받는다”라고 주장하면서, 이방인들에게 ‘율법의 행위들’을 요구하는 유
            대주의자들을 신랄히 비판했다는 것입니다.
            던(Dunn)과 라이트(Wright)는 바울의 칭의론의 복음을 이방 선교의 맥락에서 이방인들의
            믿음을 정당화하기 위해 전개한 구원론으로 보고, ‘의인으로 칭함 받는다’ 또는 ‘의인의 신
            분을 얻는다’(justification)라는 말도 선교적, 사회학적인 관점에서 주로 하나님의 백성의
            범주로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바울의 칭의론의 요체는 ‘이방인들이 어떻게 하나
            님의 백성 또는 아브라함의 자손이 되느냐’의 문제에 대한 답으로서, 그들이 ‘율법의 행위
            들’을 하여 유대교로 개종하고 유대인들이 될 필요 없이, 오로지 그리스도의 은혜의 복음
            을 믿음으로만 하나님의 백성(자녀) 또는 아브라함의 자손이 된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던(Dunn)과 라이트(Wright)는 한편으로 바울의 칭의론에 대해 그가 유대주의자들
            에 맞서 이방 선교를 촉진하기 위해 고안한 특수 구원론이라고 보았던 슈바이처
            (Schweitzer)의 견해를 이어받으면서, 다른 한편으로 바울의 칭의론은 유대인들만이 하나
            님의 백성이라고 고집하는 유대교의 민족주의에 대한 싸움 교리이지 율법                                         ‐공로주의에 대
            한 싸움 교리가 아니라고 강조했습니다.




                  (4)      두 언약 이론 The Two-Covenant Theory: 개스튼 Gaston 등


            네 번째 이론을 제시하는 학자들도 더러 있습니다. 그것이 소위 ‘두 언약 이론’입니다. 샌더
            스(Sanders)가 밝힌 바에 의하면 유대교도 하나님의 은혜를 강조하는 종교입니다. 그리고
            율법 안에 속죄의 수단들이 다 제공되어 있습니다. 그러니까 “유대교도 회개하고, 성전에
            가서 지은 죄에 대해 제사하면 하나님의 자비로 용서받고 구원받는다고 가르쳤다. 그러므
            로 유대인들은 모세의 시내 언약에 의해서 구원받고, 이방인들은 그리스도의 골고다 언덕
            에서의 새 언약으로 구원받는다고 하자. 그렇다면 유대인들과 그리스도인들이 함께 하나
            님의 백성이 되고 서로에게 형제가 되는 것이다. 이런 인식으로 유대교와 기독교의 해묵은
            갈등을 해소하자”라는 것이 ‘두 언약 이론’입니다.


            샌더스(Sanders)의 유대교 연구에 근거하여 바울신학을 새롭게 보자는 운동을 던(Dunn)과
            라이트(Wright)가 ‘바울신학에 대한 새 관점/조망’(The New Perspective on Paul)이라고
            명명했는데, 크게는 위의 네 가지 견해가 다 그 이름 속에 포함됩니다만, 던(Dunn)과 라이
            트(Wright)의 견해 이외에 다른 세 가지 견해들은 거의 지지를 받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
            바울신학에 대한 새 관점/조망’이라는 이름은 사실상 던(Dunn)과 라이트(Wright)의 관점을
            지칭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던(Dunn)과 라이트(Wright)가 ‘새 관점’의 가장
            영향력 있는 주창자들이고, 그들의 바울 해석이 학계의 큰 호응을 얻었다는 것입니다.




                3)      새 관점의 시대정신Zeitgeist


            그런데 그것이 일어나게 된 그 시대의 시대정신을 우리가 이해해야 합니다. ‘새 관점’은 제
            2차 세계대전 중 저질러진 유대인 대학살(Holocaust)에 대한 깊은 반성을 담고 있는 20세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