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 - 칭의와 성화-김세윤
P. 16

5)      새 관점에 대한 비판


            이러한 새 관점 신학이 바울신학에 엄청난 충격을 주었고 많은 호응을 얻기도 했지만, 그
            에 대한 신학적 반격도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그 반격은 두 갈래로 이루어졌습니다.




                  (1)      바울 해석에 대한 비판


            첫째, 새 관점 학파의 바울 해석이 과연 옳은 것인가에 초점을 맞추어 비판을 제기한 학자
            들이 많이 있는데, 특히 여러 복음주의 신학자들이 그중에 속합니다. 이들은 앞에서 소개
            한 새 관점 학파의 ‘바울의 율법과 유대교 비판에 대한 네 가지 해석’ 모두에 문제가 있다
            고 봅니다. 새 관점 학파의 주종을 이루는 던(Dunn)과 라이트(Wright)의 이론에서도 특히
            그들의 ‘율법의 행위들’과 ‘나의 의, (그들) 자신의 의’라는 바울의 숙어들에 대한 해석에 심
            각한 오류가 있다는 것입니다.
            저도 제 책 「바울신학과 새 관점」(두란노)의 1장에서 이 숙어들에 대한 던(Dunn)과 라이
            트(Wright)의 해석이 옳지 않음을 논증했습니다. 던(Dunn)은 제가 제 첫 책 「바울 복음의
            기원」(엠마오)에서 바울의 기독론과 구원론을 그가 체험한 다메섹 도상에서의 그리스도의
            계시로부터 도출하려 한 것에 대해 누차 신랄히 비판했습니다. 그는 제가 바울의 칭의론도
            그 계시의 체험에서 기원했다고 하는 것을 비판하면서, 다메섹 사건을 ‘복음의 계시’라는
            측면은 무시한 채 오로지 ‘사도적 소명’의 사건으로만 해석하여 자신의 새 관점에 맞추느
            라 애를 많이 썼습니다.
            물론 그것은 갈라디아서 1:11~17에 나오는 바울의 증언에 완전히 반한 것입니다. 그럼에
            도 불구하고 그는 자신의 다메섹 사건의 해석을 자신의 새 관점의 한 ‘test case’(시험 케이
            스)라고 내세웠습니다. 그는 또 바울의 칭의론을 이해함에 있어 열쇠 구절들 중 하나인 갈
            라디아서 3:10~14 또한 자신의 새 관점에 대한 또 하나의 ‘test case’라고 내세웠습니다.
            그러면서 그 구절들에 대한 전통적인 해석, 즉 “누구도 율법을 온전히 지켜 의인이 될 수
            없다. 그런데 그리스도가 십자가에서 우리 대신 우리의 죄들에 대한 하나님의 저주를 받아
            우리를 하나님의 저주로부터 구속하셨다. 그러므로 율법의 행위들로가 아니고 오로지 이
            복음을 믿음으로만 의인이 된다”라는 해석을 부정하고, 그 구절들을 “그리스도가 유대인들
            이 민족주의적인 관점에서 율법을 자기들만 의인 됨을 보장하는 것으로 오해하고 이방인
            들을 배격하기 위해 오용한 죄를 대속하였다. 그리하여 이제 이방인들도 믿음으로만 유대
            인들과 마찬가지로 하나님의 백성/아브라함의 자손이 됨이 가능해졌다”라는 식으로 납득
            하기 어렵게 해석하였는데, 이 해석은 심지어 새 관점의 동료 주창자인 라이트(Wright)에
            의해서도 ‘억지 해석’이라고 비판받았습니다.
            그래서 던(Dunn)의 두 ‘test cases’를 다시 점검해 보고자 한 것이 저의 저서 「바울신학과
            새 관점」의 1장과 4장입니다. 그렇게 다시 점검해 보니 던(Dunn)이 옳지 않다는 결론에 이
            르렀고, 그래서 그 문제를 두고 던(Dunn)과 심각한 논쟁을 벌였던 것입니다. 저의 「바울신
            학과 새 관점」을 서평한 사람들 중 여럿은 제가 던(Dunn)을 너무 심하게 비판했다고 평했
            습니다. 되돌아보면 그런 비판이 일부 타당하다는 것을 받아들이면서, 다른 한편으로 그런
            서평자들이 한두 사람을 제외하고는 이전에 던(Dunn)이 저를 수차례 얼마나 신랄하게 비
            판했는지에 대해서는 감안하지 않아 아쉬움을 느끼는 것도 사실입니다.
            하여간 여러 비판적인 학자들과 함께 저도 제 책 「바울신학과 새 관점」 1장에서 던(Dunn)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