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0 - 전시가이드 2020년 07월
P. 30

김재덕 컬럼














































                       백자대호, 달항아리, 출처-문화재청(보물제1441호)




        는 용어의 ‘청(靑)’은 녹색을 아우르는 푸른색의 의미를 갖고 있어, 청자의 색    기보다는 내적인 청결을 중시하고 질박하고 검소한 삶을 더 우선시 한다. 따
        은 푸른색이 아니라 녹색 계통의 색을 가리키는 것이다.                  라서 조선의 유물 중에는 화려한 것 보다는 소박하고 절제의 미가 돋보이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조선기에 백자의 단순, 소박, 생략감이 있고 더 나아
        백자(白瓷)는 자기(瓷器)중에 가장 발전된 종류라 할 수 있으며 청자의 소성온     가서 여유와 익살이 표현되어 지는 것은 시대적 배경의 직접적인 영향에 있다
        도 보다 조금 높은 1300℃~1350℃의 온도에서 번조되어 자기가 된다. 조선시   할 것이다. 15세기 초 세종대왕의 명에 의해 왕실에서 사용하던 화려한 식기
        대 백자의 태토로는 고령토(高嶺土)라고 불리는 백토가 주로 쓰였으며 청자        들이 모두 백자로 대체되었다. 그 후 왕실에서 관요(官窯)를 설치하여 백자의
        에 사용되는 흙보다 백자에 사용되는 흙의 순도가 더 높은 태토를 사용하였음       대량생산이 이루어 지고 조선기 백자의 전성기에 이르게 된다. 백자는 크게 순
        을 알 수 있다. 백자의 시유시 유약은 원래 무색투명하지만 요(窯)속에서 구운     백자, 청화백자, 상감백자, 진사백자, 철회백자 등으로 시유의 재료와 소성의
        후에는 유약의 성분이나 가마의 조건에 따라서 독특한 유색(釉色)을 띄게 된       과정에서 다양성으로 나타난다. 순백자는 도자기에 아무 문양도 그리지 않은
        다. 조선시대에는 우윳빛이 도는 유백색(乳白色), 약간 파르스름한 색을 머금      ‘민’ 백자이며 청화백자는 코발트빛으로 파란 문양이 표현되어진 것이며, 상감
        은 청백색(靑白色), 푸른 기가 짙은 청백색 등의 유색이 있었고, 설백색(雪白     백자는 상감청자와 같은 방식으로 백자 표면에 상감기법을 적용하여 표현된
        色)의 백자도 다수 생산되었다. 태토는 순백색이어야 하며 태토와 유약이 분       도자기 이다. 철회백자는 철분안료를 써서 그 안료가 소성 중 다갈색이나 흑
        리되는 박락(剝落)현상이 있어서는 안 된다. 유약에 빙렬도 없어야 하고 표면      갈색 계통의 색으로 산화되어 그려진 문양이 나타나 보이는 것이고 진사백자
        을 금속으로 긁어 보아도 흠이 나서는 안 되며 반투명질이어야 한다. 조선기       는 말 그대로 빨간 진사를 써서 도자기 표면의 그림이 붉게 나타나는 그릇의
        대표적 도자기는 단연 백자를 이야기 할 수 있으나 백자가 단지 청자보다 모       제작 기법을 말한다. 이 중에 조선시대의 대표적 사상이 잘 표현되고 전승되
        양이나 예술적으로 앞선 그릇이었기 때문에 조선기에 유행 했다기 보다 유교        어 내려온 도공의 혼이 담겨있는 것은 순백자이다. 민 백자로 어떠한 장식이
        적 이념으로서의 접근에 있어서 시기적으로 적절 하였다고 볼 수 있으며 외부       나 그리는 행위를 첨하지 않은 순백의 소박한 도기류는 여타 다른 나라에서는
        적으로 중국 도예가의 영향이 미친 점도 부정 할 수 없는 점이다.            쉽게 찾아 볼 수 없다. 순백의 투명유에만 의지 한 채로 중국이나 유럽의 도기
                                                        류보다 은은하고도 고고한 미를 발하는 조선기의 순백자의 아름다움은 단순,
        당시 중국(명)은 송 대에 일어난 성리학의 영향을 국시(國是)로 받아들여 유학     소박, 생략감의 조선 도공들의 얼을 가장 잘 나타내 주고 있다. 더하여 조선 백
        (儒學)이 부흥하게 되는 시기였다. 성리학의 사상은 밖으로 화려하게 드러내       자의 하얀 빛깔은 하나의 백색이 아닌 다양한 백색의 수많은 얼굴로 나타난


        28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