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5 - 2019년02월전시가이드
P. 25

김용권 컬럼

































                                                                                 호력도, 80×35cm, 장지, 조선민화박물관 소장





                                         1990년대 들어와 전통 민화 기법을 익힌 작가들이 많아졌고,
                                    이에 우리 미술화단의 한 영역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마련했으며
                                 무엇보다도 타 분야의 미술작가와 차별되는 보다 확실한 민화작가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1990년대 공방소속                                     을 하였다.

                                                            1995년에는 ‘한국민화연우회’가 보다 큰 성장과 발전을 위해 ‘한국민화작가
            민화작가들의 활동                                       회’로 명칭을 달리하여 재창립되었다. 참여 민화작가들은 평균 20년 이상의
                                                            경력자들로,  송규태를 고문으로 모시고, 안영혜, 서경식, 이택용, 금광복, 김
                                                            상철, 박수학, 이정동, 윤인수, 박신자, 박근자, 이현영, 강대봉, 임정명, 이형기,
            김용권(겸재정선미술관 관장)                                 박영일, 이나미, 홍혜숙, 권오규, 김홍자, 이문성, 서공임, (고)안종혁 등이 참여
                                                            해 더욱 눈부신 활동을 보여 주었다.

                                                            한편 1990년대 들어와 전통 민화 기법을 익힌 작가들이 많아졌고, 이에 우리
            1986년에는 앞선 지면에서 언급되었던 이규완, 박수학, 정하정, 나정태 등에     미술화단의 한 영역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마련했으며 무엇보다
            의해 배출된 제자들이 ‘한국민화연우회’를 구성하여 활동하였다. 사실 오늘날       도 타 분야의 미술작가와 차별되는 보다 확실한 민화작가로 활동하기 시작했
            의 민화분야의 부흥은 바로 위와 같은 ‘한국민화연우회’가 큰 바탕이 되었다       다. 당시에는 평생교육원, 문화강좌 등을 통해 고학력의 중, 상류계층의 주부
            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래서 짚고 넘어가게 되는데, ‘한국민화연우회’     들이 여기적, 전문적으로 민화작품을 제작, 발표하였다. 그리하여 민화 동호
            창립에는 김상철, 이정동, 윤인수, 구연경, 이문성, 서공임, 강대봉, 고광준, 정  회에서부터 아마추어작가로 그리고 민화전문가로 성장하면서 민화 인구가
            복석(가나다 순) 등의 민화작가들이 참여하였다. 물론 당시에는 다른 경로로       양적으로 대폭 늘어났다. 이와 함께 서양화, 한국화, 도자기, 디자인 분야 전
            민화발전에 공헌한 작가들도 있었다.                             공자들이 민화 작가로 눈에 뛰게 활동하였다. 이른바 당시에는 정규대학 과
            김생수, 박근자, 이형기, 이정옥, (고)안종혁, 엄재권, 정승희, 최덕례(가나다   정을 거친 타 분야의 몇몇 작가들이 민화작가로 활동하였을 뿐만 아니라, 그
            순) 등의 민화작가들도 눈에 뛰는 활동을 보여 주었다. 이들 모두는 자타가       동안 민화분야에 경직된 반응을 보여 왔던 미술대학 몇몇의 교수들까지도 민
            인정하는 오늘날의 민화부흥의 일등공신으로, 민화작품 활동과 민화단체 활         화작가로 활동하는 분위기가 되면서 민화분야는 양적, 질적으로 많은 성장
            동 그리고 제자 양성에 힘을 써, 민화 저변 확대와 위상을 높이는데 큰 공헌      을 이루게 되었다.


                                                                                                       23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