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84 - 한국 교회가 잘못 알고 있는_ 101가지 성경 이야기 1 & 2
P. 284

제사는  “하나님이  친히  준비하신  어린  양이신  그리스도”  이심도  보여  줍니다.

                   우리는  이  말씀을  통해  “얼마나  교회에  많이  헌금을  해야  할  것인가”  를

               발견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언약을  신뢰하는  방법”을  발견합니다.  이  사건의
               언약적  풍성함이  이  글을  읽는  분들에게도  전달이  되기를  소원합니다.










                                    52 ‘조용한’사람  야곱? (창  25:27)



                                     야곱은  정말  비열한  사람이었을까



                   그  아이들이  장성하매  에서는  익숙한  사냥꾼이었으므로  들사람이  되고  야곱은
                   조용한  사람이었으므로  장막에  거주하니(창  25:27).




                   성경  말씀  속에  도덕이  나타나는  것은  분명하지만,  성경을  “일반적인  도덕률”로
               읽는  것은  대단히  위험합니다.  성경은  분명히  하나님의  구원  사역을  나타내고자

               하는  목적으로  씌어졌기  때문에  이  말씀들은  항상  예수  그리스도  중심적으로,  구원

               사역을  염두에  두고  읽어야  합니다.  심지어  도덕이  나타나는  곳마저도  우리  신자가
               말하는  도덕은  세상이  말하는  도덕과는  다릅니다.  예를  들어  “네  부모를  공경하라.”

               같은  경우를  생각해  봅시다.  저는  아직  성도들  중에서  신자가  부모를  공경해야  하는
               이유를  세상  사람들이  부모를  공경해야  하는  것과  어떤  점에서  다른지  인지하는

               성도를  별로  만나보지  못했습니다.  쉽게  말하면  신자라  하더라도  대부분의  경우
               ‘착한  일’을  하는  동기는  불신자들과  똑같은  것입니다.  하나님에  대한  염두가
               없습니다.  그저  부모를  공경하는  것이  좋은  일이기  때문에  그렇게  합니다.


                   하지만  신자가  부모를  공경하는  이유는  불신자의  이유와  같지  않습니다.  신자가
               “부모를  공경”하는  이유는  부모가  “하나님을  보여  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입니다.

               신자는  불신자와  같은  이유로  부모를  공경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신자의  모든

               일상다반사는  하나님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부모  자식  관계  속에
               하나님과  당신  자녀의  관계를  심으시고,  그것을  통해  간접적으로  하나님을  발견하게

               하기  위해서  부모와  자녀  관계를  설정하신  것입니다.  그러므로  부모  공경은
   279   280   281   282   283   284   285   286   287   288   2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