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39 - 제2권
P. 439

이상재(1607~1636년)의 충신 정려문으로 영조 17년(1741년) 증직되면서 내려진 정판에 ‘충신 증 통                                439
                  정대부 홍문관부제학 지제교 겸 경연참찬관 춘추관수찬관 행 통덕랑금정찰방 겸 승문원저작 이상재                                             역사

                  지문 숭정기원재갑 신유 특명가증(忠臣 贈通政大夫弘文館副提學知制敎兼 經筵參贊官春秋館修撰官                                                 /  유적
                  行通德郞金井察訪兼承文院著作李尙載之門 崇禎紀元再甲 辛酉 特命加贈)’이라 기록되어있다. 송면재

                  (宋冕載, 1764~?년)가 지은 정려기가 함께 보관되어 있다.                                                             · 유물
                    정려각은 최근 재건축된 것으로 정면 2칸, 측면 1칸이다. 좌측에 협칸을 두어 신위를 모신 감실이

                  있으며, 우측 칸에는 좌·우측 벽면에 각각 백호·청룡의 벽화가 그려져 있다. 현재 서동 271번지에
                  위치한다.



                  39. 이세갑 묘(李世甲 墓)

                    이세갑(1628~1702년)은 이상재의 아들로 사옹원 첨정(司饔院 僉正) 등의 관직을 역임하였다. 묘

                  소는 서동 산 66-1번지 일원 남서사면의 이상재 묘 하단에 있다. 상석(가로 134×세로84.5×높이

                  38.5cm), 향로석(가로 32×세로 26×높이 42cm), 혼유석(가로 78×세로30cm), 망주석 한 쌍(높이
                  174×폭 35cm) 등의 옛 석물이 남아있다.


                  40. 이정사 묘(李廷師 墓)


                    이정사(1650~1723년)는 이세갑의 장남이며, 음직으로 군위현감 등을 역임하였다. 묘소는 이세갑

                  묘 하단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석(가로 134×세로 83×높이 42.5cm), 향로석(가로 35×세로 28.5×
                  높이 47cm), 혼유석(가로 88×세로 30cm), 망주석 한 쌍(높이 184×폭 36cm) 등의 옛 석물이 있다.


                  41. 이정태 묘(李廷泰 墓)와 묘표(墓表)


                    이정태(1652~1695년)는 이세갑의 차남으로 영조대 노론의 중심인물인 조상경(趙尙絅, 1681~1746

                  년)의 장인이다. 묘소는 서동 산 66-1번지 일원으로 이상재 묘소의 동쪽 능선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
                  석(가로 131×세로 86×높이 41cm), 향로석(가로 37×세로 30.5×높이 34cm), 망주석 1기(높이 170

                  ×폭 35cm), 묘표(전체높이 153, 비신: 높이 124×폭 54.5×두께 21.5cm) 등 영조 대에 조성된 석물
                  이 있다. 묘표는 방부원수의 형태로 영조 37년(1761년) 건립되었으며, 외손인 조엄(趙曮, 1719~1777

                  년)이 문장을 짓고 당대의 명필인 조돈(趙暾, 1716~1790년)이 썼다.


                  42. 지곶동 유적(紙串洞 遺蹟) ①


                    기호문화재연구원이 2006~2007년에 걸쳐 실시한 지곶동 산 60번지 일원의 수도권 제2순환고속
                  도로 오산휴게소 건설부지에 대한 구제발굴조사를 통해 확인되었다. 지형상 여계산의 북쪽 능선과

                  북동쪽 곡간부에 해당한다. 조사 결과 삼국~조선시대에 이르는 유구 285기와 552점의 유물이 출토
                  되었다.
   434   435   436   437   438   439   440   441   442   443   4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