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0 - 관악부 100년의 이야기
P. 30
030 KOREA UNIVERSITY WIND ORCHESTRA
+ 031
(64 서울고 Euph) 김중조(64 생물 Dr) 이태극(65 수 경기고 Cla) 안재명(66 물리 Cla) 윤춘식
(67 전기 대전고 Tb) 이병두(67 생물 Drum) 서재하(68 토목 대광고 Cla) 조병오(68 산공 Tb)
박종학(68 독문 Tp) 이성규(69 산공 A Sax) 최병찬(70 물리 Cla) 안재창(지질 Cla)등 이외에도
많은 학생이 입회 활동한 것으로 기억된다.(70학번 이후는 부록의 ‘관악부와 인연의 끈을 남
긴 사람들’ 참조)
1955년에는 학교 써클로 산악부 역도부 당수부(태권도)등 손꼽을 정도였으나 차차 동호단체
가 늘어나니 이를 관리 통제하기 위하여 전 동호인 단체를 학생과에 등록하게 될 때에, 필자가
학생과에 자주 출입을 하니 관계직원이 서류를 주면서 등록하라기에 부장 이성곤을 비롯하여
파트 별로 40여명의 명단을 작성 제출하니 다른 동호회 보다 늦게 출발하였음에도 취주악부가
고려대학교 써클 제1호로 등록이 되었다.
1955년 11월 강당에서 창립연주회를 하고 1956년 5월 중앙고등학교 강당에서 제2회 연주
회를 개최하니 향토색이 짙고, 우직한 막걸리 대학이라고 불리던 고려대학교에서 취주악단의
공연으로 학교 관계자는 물론 세인(世人)들의 감탄과 고려대에 대한 시각(視覺)이 달라졌다.
참고로 50년대로 부터 60년대 초 까지는 우리나라 전 국민의 80%가 농업에 종사하고 6,25의
참상(慘狀)을 겪은 직후라 서울 인구는 150만 이었으며, 1인당 국민소득(GDP)은 60$ 정도여서
사회경제는 매우 열악(劣惡)하였다.
1955년에 입학하니 학교 앞은 비포장의 좁은 길로서 당시 후암동~종암동 종점(현 국민은행
자리)의 7번 버스 한 노선 만 가끔씩 다니고 학교 앞 로변(路邊)에만 겹겹이 몇몇 집이 줄지어
있었고 그 뒤로는 청량리 전농동(典農洞) 일대 까지 논(畓)이었다. 많은 학생들이 자취(自炊)·하
숙을 하거나 청량리 까지 전차를 타고 와서 도보로 등교하였다. 필자의 집은 정릉(貞陵)동 이었
는데 돈암동을 거쳐 애기능(현 理工大) 숲속을 지나 학교 까지 걸어 다녔다.
필자의 입학년도인 1955년 4월에는 법과대학 상과대학 문리과대학 농림대학의 4개 단과대
학 17개 학과로 학생 정원은 3,320명으로 증원 되었다. (고려대학교 일람, 2004~2005, P, 34)
고 기록되어 있다.
1959년 개정된 고려대의 편제(編制)와 정원(定員)을 살펴보면 전교 재적생이 4040명이고 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