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03 - 부안이야기19호
P. 103

부안 지역의 의병들은 변산을 근거지로 투쟁하
                                                      였지만 고창 선운산에 본부를 둔 기삼연이 순

                                                     절하자 조직이 무너지고 끼리끼리 주재소를 습

                                                  격하거나 일본인들을 공격하는 등의 산발적인 활
                                    동을 하며 다른 지역과 연대하여 활동하였다. 당시 신문 기사들

                                    을 확인하면 의병들은 군 경계를 넘나들면서 활동했다. 부안·고

                                    창·흥덕·고부 등은 인접지역이어서 수시로 지역 이동을 할 수 있
                                    는 곳이다. 의병은 지역 출신들이 많아서 지형과 지세를 잘 이용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고, 특히 부안은 변산에 깊은 골들이 많아

                                    서 의병들이 선호하던 곳이었다.(본문  중에서)











































                                                                          호남 항일 의병투쟁
                                                                          1910년 경술국치를 전후해서 전국 의병들의 60.1%, 교전회수의 47.3%를
                                                                          차지할 만큼 호남지방은 의병투쟁의 중심지역이었다. 일본경찰과 헌병대가
                                                                          집계한 통계에 따르면 1908년에는 교전회수에 있어서 전남·전북·경기·경북·
                                                                          충남·강원의 순이었다. 일제는 1909년 9월 1일부터 10월 10일까지 40일간
                                                                          에 걸쳐 보병 2개 연대 2,260명을 동원, 전남지역을 휩쓰는 소위 남한대토벌
                                                                          작전을 벌였다. 이때 광주를 중심으로 한 전남지역에서 일본군과 싸운 의병 수
                                                                                        기획특집4_내 고향 상서와 어린 날의 아지랑이 0103
                                                                          가 17,570명으로 집계되었다.<출처:『사진으로 보는 독립운동』(서문당)>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