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6 - 부안이야기19호
P. 36

그저 좋아서 그 속에 젖어서
            산다 하는 선생은, 그 누구보
            다 자유롭다. 때문에 붓을 들

            고 있을 때면, 이 세상 아닌 곳
            으로 훨훨 날아 신선 세계로
            가는 것 같다고 선생은 또 말
            할 수 있는 것이다.

              장자의 『소요유(逍遙遊)편』
            에는 곤(鯤)이라는 물고기가
            나온다. 곤이 변해서 붕(朋)이
            라는 새가 되는데, 붕새의 등

            은 몇 천리가 되어 한 번 날면
            구름처럼 하늘을 뒤덮어버리
            고, 바다가 출렁거릴 정도로
            큰 바람이 일어 단번에 북해

            끝에서 남해 끝까지 날아간
            다. 부딪힘도 없고, 막힘도 없
            다. 산 일이 없고, 죽은 일 또
            한 없다. 그저 모든 관념의 속

            박으로부터 벗어난 저 깊숙한
            곳에서 선생은 곤이 되고 붕
            새가 되어보는 것이려니.



              “먹색처럼 많은 색이 없더
            구만. 농중담에 또 농중담이
            있고, 검은 것도 물로 희석하
            면 갈빛이 나고, 회색빛이 나.

            그러기에 천에 그릴 때는 한
            번에 그리는 게 아니라 연묵
            을 써. 그 다음 중간 묵을 해서
            다양한 색을 얻어가는 게지.”



              예순 훌쩍 넘은 지금도 붓 잡
            고 있는 일이 선생은 가장 좋
            다고 한다. 새벽 두세 시라도

                                           모란 속 목숨수(壽)


        036   부안이야기·2018년/겨울/통권제19호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