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9 - 부안이야기19호
P. 49

두주막거리
                         큰다리에서 북으로 약 1km 지점. 삼간마을 서쪽으로 부안읍과 계화면 대벌리로 갈라지는 삼거리에 두

                        집(주막)이 있어서 생성된 땅이름이다. 지금도 이곳은 3~4집이 뜸을 이루고 있다.


                         세가오뜸
                         삼간 북동쪽에 있는 마을로 처음엔 세 집이 있어서 생

                        성된 땅이름이다.


                         칼바우-검암마을
                         검암(劍巖)마을은 행안면사무소로부터 서북으로 2km

                        지점, 역리 서옥마을 서북쪽, 종산 남쪽 마을이다. 마을에
                        칼 모양의 바위가 있어서, 또는 옛날에 어느 무사가 이 마
                        을 서북쪽에 있는 당북산(장군봉)에서 무예를 익히다가
                        바위에 앉아 칼을 갈았다 하여 칼바위마을이라 했다는 땅                        검암마을

                        이름 생성설화가 전한다. 지금은 칼 검(劍)자가 너무 사
                        나워보여서인지 검사 검(檢)자를 쓴다. 검암마을 서남쪽
                        들은 예전에 배가 들어왔던 갯가였다고 한다. 이 마을에
                        는 조선조 고종 때 효자 정문을 받은 김행원(金行元)의 정

                        문 순효문이 있다.


                         당고개                                                  검암마을 김행원 정려
                         검암에서 동진면 당상리·당하리로 넘어가는 고개로 고

                        개마루에 서낭당이 있었다고 한다.


                         달바위-월암마을
                         월암(月巖)마을은 행안면사무소에서 변산 가는 국도

                        30호선을 따라 송정-삼간리 정금마을 지나 2km 지점,
                        부안중앙농협 행안지점 서북쪽에 자리한 마을이다. 이 마                        월암마을
                        을에 있던 고성초등학교는 2006년에 폐교되었다. 마을의
                        지형이 반달 모양이어서 ‘달의바우’ 또는 ‘달바우’, 한자

                        로 ‘月巖’이라 하였다고 하며, 뒷마을 월성(月星)마을은
                        월암에서 파생된 샛터마을이다. 궁안·삼간평의 간척이
                        이루어지기 전에는 마을 앞까지 바닷물이 닿았다.



                                                                               옛 고성초등학교




                                                                                                                  049
                                                                                                  기획특집4_행안면의 땅이름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